노벨 화학상 '유전자 가위' 개발한 佛·美 여성학자 공동 수상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좌), 제니퍼 A.다우드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좌), 제니퍼 A.다우드나

올해 노벨 화학상은 프랑스의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미국의 제니퍼 A.다우드나, 두 명의 여성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 샤르팡티에, 다우드나를 올해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 샤르팡티에는 현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리학 교실에 재직 중이며, 다우드나는 미국 캘리포니아대(버클리) 교수다.

여성 연구자 두 명이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이 주도적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개발된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 가위는 생명과학과 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신기술이다. 동물, 식물, 미생물 등의 DNA를 편집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하고 사용하기 쉬운 도구로 평가받는다. 이 기술로 인해 질병을 일으키는 비정상적인 유전자를 잘라 없애거나 변형 시켜 유전병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실제로 농학자들은 이 기술을 활용해 병충해와 가뭄 강한 작물들을 잇달아 개발했고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암 치료법들에 대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노벨위원회는 “이 기술로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를 매우 정교하게 변형할 수 있게 됐다”면서 “생명과학에 혁명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과 유전병 치료의 꿈을 현실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노벨화학상 부문 심사위원장인 클라에스 구스타프손은 보도자료에서 “이 유전자 도구에는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엄청난 힘이 있다”면서 “기초과학에 혁명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혁신적 결과를 내놓았으며 앞으로 새롭고 획기적인 의학적 치료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수상으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여성 과학자는 7명으로 늘어났다.

샤르팡티에는 수상직후 전화 회견에서 “이번 수상이 과학의 길을 걷고자 하는 소녀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줄 것으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상 가능성이 점쳐졌던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의 수상은 이뤄지지 못했다.

지난해 노벨 화학상이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에 돌아간 상황에서 2년 연속 응용 화학 분야 수상자를 선정할 가능성이 높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