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비대면 바우처, 지속사업으로 키우자

서비스 2개월 만에 8만개 중소·벤처기업이 몰리며 정부의 비대면 바우처 수요기업 모집이 조기 마감됐다. 디지털 전환을 위한 수요가 정부 예상보다 훨씬 많았다는 분석이다.

비대면 바우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한 사업이다.

당초 국회나 업계 안팎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많은 기업을 수혜 대상으로 잡았다는 비판을 받던 사업이다. 실제 서비스 개시 직전인 지난 9월 17일까지 목표의 10%도 채우지 못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일 평균 1500개에 달하는 기업이 새로 참여했다.

중소·벤처기업이 원격·재택근무에 대한 필요성을 뒤늦게 인지한 것은 물론 적용 범위가 생각보다 넓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특히 재판매업자의 참여를 막고, 우수 공급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비대면 솔루션 공급업체의 '옥석 가리기'가 이뤄졌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6개월 한시조직으로 꾸려졌던 사업 총괄 조직의 운영 기간을 이례적으로 6개월 연장했다.

문제는 내년 사업이다. 내년도 비대면 바우처 사업 예산은 올해와 같은 수준인 2880억원으로 편성됐다. 국회를 중심으로 불거진 부정적 시각으로 기대만큼 많은 예산이 편성되지 못했다.

올해 사업으로 혜택을 본 8만개 수요기업에 더해 올해 기회를 얻지 못한 기업을 포함하면 내년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기업의 관심도 커져 소프트웨어(SW) 분야 전반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는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해당 사업이 성과를 낸 이유는 기업의 가려운 곳을 짚어냈기 때문이다.

과거 참여정부에서 실시한 중소기업 전사자원관리(ERP) 보급 사업이 지금의 중견 SW 기업을 만들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비대면 바우처 사업도 글로벌 비대면 기업 육성과 중소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의 가속도를 붙일 정책으로 평가된다. 시장 수요까지 확인된 만큼 예산 확대 등으로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키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