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판매 성장률 1위는 '테슬라' 꼴찌는 '혼다'

지난해 수입차 시장에서는 테슬라가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혼다의 하락세가 가장 컸다. 지난해 수입차 시장이 28만대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테슬라 모델3.
<테슬라 모델3.>

17일 전자신문이 국내 시판 중인 24개 수입차 브랜드의 2019년과 2020년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성장률 1위는 테슬라였다. 작년 1만1826대를 판매한 테슬라는 386.7% 성장했다. 이 가운데 모델 3가 1만1003대를 차지하며 판매를 견인했다.

쉐보레 콜로라도.
<쉐보레 콜로라도.>

쉐보레는 1만2455대로 280.9% 증가하면서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쉐보레는 국내 라인업 9종 가운데 5종을 수입차로 채우고 있다. 픽업트럭 콜로라도가 5215대,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트래버스가 4103대를 기록하며 판매를 늘렸다.

벤틀리 벤테이가.
<벤틀리 벤테이가.>

벤틀리는 129.5% 증가한 296대를 판매해 3위에 올랐다. 차량 가격 1억원대 이상 고가 브랜드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다. 벤테이가 125대, 콘티넨탈 GT 171대가 팔렸다. 올해부터는 플라잉스퍼 출고가 본격화되며 더 큰 폭의 성장세가 기대된다. 3억원이 넘는 플라잉스퍼는 이미 180대 이상을 계약 받았다.

아우디 A6.
<아우디 A6.>

아우디와 폭스바겐은 판매를 두 배 이상 늘리며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다. 아우디는 2만5513대로 113.9%, 폭스바겐은 1만7615대로 107.0% 성장했다. 아우디는 주력 세단 A6가 1만대 이상이 팔려 판매 성장을 주도했다. 폭스바겐 판매를 이끈 건 수입 SUV 최초로 연간 판매 1만대를 넘어선 티구안이다.

수입차 사상 최대 실적에도 브랜드 간 판매 양극화는 더 심화됐다. 전체 24개 수입차 브랜드 가운데 성장세를 기록한 브랜드는 13개였고, 하락세를 나타낸 브랜드도 11개에 달했다.

혼다 어코드.
<혼다 어코드.>

판매가 가장 크게 감소한 혼다는 8760대에서 3056대로 65.1% 급감했다. 일본 제품 불매운동 이후 신차 투입이나 마케팅 활동을 최소화한 영향이다. 주력 차종 어코드 판매가 절반 이상 감소했고, 1200대 이상이 팔렸던 파일럿도 작년 15대에 그쳤다. 업계 일각에선 철수설까지 제기했다.

재규어 F-PACE.
<재규어 F-PACE.>

재규어도 64.8% 줄어든 875대에 머물렀다. 비교적 인기가 높았던 SUV 라인업 E-PACE와 F-PACE 판매가 평균 60% 이상 떨어졌다. 세단 라인업 XE, XF, XJ을 포함해 모든 차종 판매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XE의 경우 19대에 그쳤다.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

토요타와 렉서스는 각각 42.0%, 27.2% 판매가 줄었다. 혼다보다 감소 폭이 적었으나, 일본 불매운동 여파를 피해가진 못했다. 신차 투입을 자제하는 등 소극적 마케팅을 고수하면서 판매 감소세는 더 뚜렷해졌다. 이어 마세라티가 26.0% 감소해 고가 브랜드 가운데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냈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올해도 전기차를 포함한 경쟁력 있는 신차가 새롭게 투입되면서 수입차 시장 성장이 기대된다”면서 “다만 브랜드별로 신차 출시나 물량 수급 등 상황이 달라 브랜드 간 양극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