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첨단산업 세계 공장화'를 실현하기 위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를 구축한다. 일본 수출규제와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소부장 공급망 위기 극복과 포스트코로나 시대 글로벌가치사슬(GVC) 선도를 위한 핵심 거점 구축을 노린다.
정부는 26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제6차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반도체(경기) △정밀기계(경남) △탄소소재(전북) △디스플레이(충남) △이차전지(충북) 등 5개 소부장 특화단지를 구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부는 작년 공모에서 신청을 받은 총 12개 단지를 대상으로 두 차례 전문가 평가위원회와 70여명이 참여한 민·관 합동 전략컨설팅을 실시했다.
최종 선정된 5개 단지는 '소부장 특별법' 상 명시된 지정요건을 충족했다. 또 6대 주력산업, 100대 핵심전략기술에 특화된 단지로 '글로벌 소부장 클러스터'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정부는 단지별 협의회를 구성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지원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특화단지 지정과 함께 △2021년 소부장 경쟁력강화 시행계획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추진 등 총 3건 안건이 의결됐다.
위원회는 올해 핵심 소부장 정책 추진 방향 중 하나로 '글로벌 수준 소부장 클러스터 육성'을 꼽았다. 국내외 수요·공급기업 연계를 강화해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거점이다. 우리나라의 첨단산업 세계 공장화 시기를 앞당기고, GVC를 이끄는 세계적 소부장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게 목표다.
위원회는 이 날 실무추진단과 대·중소상생협의회가 제안한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을 승인했다. 대상 품목은 3대 신산업(미래차·바이오·시스템반도체)을 뒷받침하기 위한 △미래차 통신용 송수신 소재·부품 △바이오·의료용 타이타늄 소재 △전기차 인버터용 시스템반도체다.
정부는 현재 핵심품목 기술 개발과 사업화 지원을 위해 소부장 협력모델을 발굴해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22건을 승인한데 이어 이번에 4건을 추가, 총 26건으로 늘렸다. 미래 성장성이 높은 품목을 집중 육성해 미래 가치사슬에 대응하는 전략이다.
정부는 협력모델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4년 간 약 600억원 규모 연구개발(R&D) 비용을 지원한다. 설비투자에는 80억원 정책금융 등을 적정금액 조정을 거쳐 투입한다. 인력·인프라, 규제특례 등 맞춤형 패키지 지원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4개 협력모델로 오는 2025년까지 약 1500명 고용과 1조원 이상 신규 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사업재편, 글로벌 협력 등 다양한 모델을 지속 발굴해 산업 분야를 대표하는 '연대와 협력' 지원제도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 정부는 올해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한 R&D에 2조2000억원을 집중 투자한다. 해외 수요기업을 포함한 국내외 소부장 협력모델은 20개 이상 발굴할 방침이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