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비 시급한 '액셀러레이터' 사업

[사설]정비 시급한 '액셀러레이터' 사업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사업인 '액셀러레이터'가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액셀러레이터는 설립 초기 기업 대상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전문 스타트업 보육회사다. 스타트업 발굴과 육성에 초점을 맞춘다는 면에서 투자와 회수가 중점인 벤처캐피털과 다르다. 전자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액셀러레이터 사업자의 절반 이상이 한 건의 투자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자공시를 전수 조사한 결과 중기부에 등록된 308개 기업 가운데 110개사는 지난해 투자 실적이 전무했다. 사업 내용을 공시하지 않은 기업도 81개사에 달했다.

액셀러레이터는 도입부터 관심이 높았다. 스타트업 설립부터 투자, 성장까지 초기 기업의 전 주기를 관리해 주기 때문이다.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은 창업 생태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문제는 예상치 않은 곳에서 발생했다. '등록제'라는 제도의 허점을 악용하는 '좀비 액셀러레이터' 때문이었다. 정부 보조금을 목적으로 이름만 내건 기업이 크게 늘었다.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보육과 투자 실적 등의 공시의무도 지키지 않았다. 그럼에도 낮은 문턱 덕분에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벤처캐피털, 중견기업, 대학교 산하기관, 협회·단체 같은 곳까지 우후죽순 시장에 뛰어들었다.

수효부터 거품을 빼야 한다. 규모가 아니라 보육서비스에 중점을 둔 우량 기업 위주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필요하다. 전수조사를 진행, 투자와 컨설팅 기능에 미흡한 기업은 과감하게 걸러내야 한다. 우선 '개점 휴업' 기업부터 정리할 필요가 있다. 기준도 새로 보완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 등록을 위해서는 1억원 이상 자본금, 3년 이상 창업 분야 근무 경력, 보육 공간과 같은 기본 조건만 갖추면 된다. 정량 기준에 초점이 맞추다 보니 관리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도덕성 해이로 흐르기 십상이다. 스타트업 경쟁력을 위해서는 액셀러레이터 중심으로 자생적인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가장 자연스럽다. 그러나 아직 사업이 연착륙하지 못한 상황을 감안하면 정부가 관심을 좀 더 기울여야 한다. 그래야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