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데이터센터 수도권 과몰입, 분산책 논의必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코로나19 이후 정부와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기반 인프라인 데이터센터 설립이 이어진다. 정보기술(IT) 기업뿐 아니라 비IT 기업도 데이터센터 사업에 뛰어들면서 센터 설립을 진행하거나 준비 중인 곳이 늘어난다. 지난해 KT가 서울 용산에 수도권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를 설립한데 이어 SK브로드밴드도 서울 가산동에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다. 신규 대형 데이터센터가 서울과 수도권 지역으로 몰리면서 지역 분산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나온다.

[이슈분석]데이터센터 수도권 과몰입, 분산책 논의必

◇데이터센터 전력량↑…서울·수도권 쏠림↑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데이터센터는 156개로 집계됐다. 민간에서 구축·운영 중인 데이터센터는 88개, 정부와 공공은 68개로 조사됐다. 2025년까지 신규 구축이 확정된 데이터센터는 25개소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20개 이상 민간센터 중 상업용(데이터센터 임대업) 데이터센터는 15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등 IT 운영과 냉동, 공조 등 비IT 장비 운영을 위해 안정적 전력 공급이 중요하다. 서버양이 늘어날수록 가용하는 전력량도 늘어난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과거 중소형 규모에서 최근(2020년 기준) 대형 이상 규모가 절반가량을 차지할 만큼 대형급 이상 데이터센터가 늘었다.

대형 데이터센터가 증가하면서 전력량도 급증한다. 연합회는 지난해부터 2023년까지 상업용 데이터센터 내 IT 전력 필요 용량이 연평균 20.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경이면 758.6메가와트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터센터는 주로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몰렸다. 민간 데이터센터 가운데(2019년 기준) 42%가 서울에 위치했다. 경기(27.8%)와 인천(4.4%)을 더하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70% 이상이 몰렸다.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81%가 수도권에 위치하는 등 서울과 수도권 선호 성향이 높다.

민간 데이터센터가 서울과 수도권에 몰리는 이유는 고객이 요구하기 때문이다. 고객은 데이터센터 이용 시 장비와 데이터센터가 기업과 가까운 거리에 있기를 선호한다.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전력, 통신, 수도 등 인프라가 우수하고 변전소, 지하관로 등 완비로 데이터센터에 드는 비용과 시간 절감이 가능하다.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핵심인력이 서울과 수도권에 많다는 점도 이유 중 하나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 용산에 문을 연 KT 데이터센터의 경우 최대 규모임에도 이미 임대가 완료될 만큼 인기가 많았다”면서 “데이터센터 임대업을 하는 기업이라면 고객이 원하는 서울 인근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해외에서도 지역 분산 고민…지자체 노력도 동반

데이터센터가 점차 서울과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송전용량 증설 등 안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진다.

해외는 이미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을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데이터센터 허브로 주목받으면서 데이터센터가 몰리자 분산 정책을 마련했다. 도쿄와 오사카 등 일부 지역에 집중된 데이터와 트래픽 지역 분산을 목적으로 '지역 데이터센터 정비 촉진 정책'을 추진 중이다.

도쿄 이외 지역 데이터센터를 정비할 경우 국가 연구 개발 법인 정보통신 연구기구(NICT)가 보조금을 교부한다. 데이터센터 신설과 필요 여부 등을 따져 차등 금액을 지불한다. 도쿄나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백업을 위한 설비를 투자할 경우 재산세를 3년간 과세 표준 4분의 3을 특례 적용한다.

아일랜드는 미국과 유럽을 관통하는 지역으로 유럽 데이터센터 메카다. 2018년 애플이 10억달러(1조2000억원) 규모 데이터센터를 아일랜드에 구축하려 했으나 전력 관련 문제가 불거지면서 계획을 취소했다. 이후 아일랜드는 데이터센터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사회기반시설로 지정하고 전력유통 담당 조직, 전력 분산 등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정책을 시행했다.

우리나라도 지자체가 중심이 돼 데이터센터 분산 노력을 이어간다. 강원도 춘천은 소양강 심층수를 냉수로 공급하는 데이터센터 산업단지를 기획한다. 세종시는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인근에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구축을 준비한다. 군산시(새만금)도 대규모 태양광단지와 연계한 데이터센터 산업단지를 기획 중이다. 새만금 데이터센터는 SK컨소시엄이 2조원을 투자하며 아태지역 최대 규모 데이터센터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는 데이터센터 빠른 설립과 지원이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고 판단하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시행 중”이라면서 “우리나라도 기업이 안정적으로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논의하는 등 지원책이 동반돼야한다”고 말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