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 김용표 교수 연구팀, "전국 단위 체계적 오존관리 정책 필요"

사진 왼쪽부터 이화여대 김용표 교수(교신저자), 여민주 박사(제1저자)
사진 왼쪽부터 이화여대 김용표 교수(교신저자), 여민주 박사(제1저자)

이화여대 화학신소재공학전공 김용표 교수 연구팀이 전국 단위로 오존의 체계적 관리와 정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이화여대 김용표 교수(교신저자)와 여민주 박사(제1저자)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18년간 우리나라 16개 시·도 지표면 오존 농도 추이를 다양한 지표를 사용해 살펴본 연구 결과를 최근 SCI급 학술지 '클리너 프로덕션'에 게재했다.

수도권 등 특정지역에 대한 오존 연구는 많지만,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이토록 장기간 오존 수준을 연구한 성과는 드물다.

지구온난화 원인 중 하나인 오존이 지구적 규모로 영향을 주면서 지역별로도 농도 편차가 크다. 연구팀은 지역 단위부터 지구적 단위까지 다양한 공간적 범위 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지표면 오존 농도는 지난 18년간 전국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오존 농도는 제주도, 백령도 등 상대적으로 청정한 지역이 높았고, 서울과 수도권 등 도시 지역은 상대적으로 농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청정지역은 오존 배경농도는 높은 반면 농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의 변화가 크지 않다. 도시지역은 오존 생성, 소멸 등 반응성 자체가 커서 고농도가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오존 평균 농도 수준을 살펴보는 것 외에도 고농도 발생 특성을 함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한반도 지표면의 고농도 오존(한국 대기환경 1시간 기준 100ppb 초과) 발생 빈도가 청정지역보다 서울, 수도권 등 도시지역에서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2018년 이후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 심각한 오존 오염 우려가 제기됐지만 여전히 특별관리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아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부권 대전과 충남에서도 오존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어서 관리가 필요하다. 수도권에서 고농도 오존이 발생한 후 1~2시간이 지나면 수도권 풍하지역에 해당하는 강원도와 충북에서도 순차적으로 고농도 오존이 나타났다. 지역간 이동에 대한 현상 규명과 관련 정책 수립도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오존 수준 연중 변화에서도 1일 최고농도가 높은 기간과 고농도(120ppb 초과)가 빈번하게 나타내는 기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1일 최고농도가 높은 시기는 주로 4~6월로 알려졌지만, 연구 결과, 120ppb를 초과하는 고농도 오존 발생 빈도는 8월에 최대치를 보인 지역도 있었다. 오존 집중 관리 기간 설정시 4~9월을 대상으로 삼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공간적 이질성을 반영한 전국 각 지역별 오존 관리 정책을 수립, 시행해야 하며, 지표면 오존 집중 관리 시기도 목표 지표를 설정, 특성을 반영해 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