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메타버스 작업반' 가동, 메타버스 산업 발전 방향 찾는다

정부 '메타버스 작업반' 가동, 메타버스 산업 발전 방향 찾는다

메타버스(Metaverse) 산업 발전과 생태계 육성 방안을 논의할 정부 '메타버스 작업반'이 활동을 시작했다. 메타버스 관련 정부 역할과 민간 지원 방안 모색이 연구반의 과제다. 업계는 예산과 요소기술 개발 지원, 규제 완화 등이 논의되길 희망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 담당자와 산·학·연 전문가 약 20명으로 구성된 메타버스 작업반이 지난달 30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가동됐다.

메타버스 작업반은 혁신성장전략회의(경제부총리 주재) 산하 '신산업 전략지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5개 작업반 가운데 하나이다. 신산업 전략지원 TF는 기술 기반의 신산업 발굴과 지원을 위해 범부처 차원에서 구성됐다.

이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9일 '신산업 전략지원 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메타버스, 클라우드, 블록체인, 지능형로봇, 디지털 헬스케어 등 5개 작업반과 함께 운영 계획을 발표했다. 작업반별로 의견을 수렴, TF가 신산업 지원 전략과 과제를 발굴해 시행을 지원한다.

메타버스 작업반은 5개 작업반 가운데 유일하게 문체부·과기정통부 등 2개 부처가 주무 부처 역할을 맡아 운영한다. 메타버스에서 콘텐츠와 기술이 모두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첫 회의는 문체부가 주재했다. 주요 부처 외에도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한국문화관광연구원(문광연)·정보통신산업진흥원(정통진흥원)·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W정책연) 등 기관·연구소와 대학, 민간 기업 전문가 참석했다.

문광연과 SW정책연 담당자가 메타버스의 전반적인 현황, 활용 분야,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향후 작업반 논의 방향성과 정부 역할 등에 대한 회의가 이어졌다.

정부 '메타버스 작업반' 가동, 메타버스 산업 발전 방향 찾는다

작업반 관계자는 5일 “더 많은 의견 수렴을 위해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석한다거나 제도·기술·콘텐츠로 분야를 나누는 등 회의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면서 “메타버스 산업을 민간과 정부 가운데 누가 주도해야 하는지, 정부가 지원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등을 얘기했다”고 전했다.

3차원(D) 가상세계를 의미하는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동, 산업을 혁신하고 삶의 편의를 높여 줄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가상세계에서는 시간과 공간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상상 속에서만 가능하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가상 경제활동이 확산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표준은커녕 개념이나 정의조차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시장 주도권을 잡기 위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등 글로벌 기업이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산·학·연·관 작업반이 생긴 만큼 정책과 예산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버스 관련 업계는 국내 중소기업이 글로벌 기업과 경쟁할 수 있도록 전용펀드 등을 통한 적극 지원을 희망했다. 메타버스 경제 전략으로 볼 수 있는 '가상융합경제'를 위해 가상자산에 대한 정부의 부정적 시각도 개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메타버스 개발사 관계자는 “실제 메타버스를 개발하고 있는 유망 벤처가 성장할 수 있도록 현장의 이야기를 많이 듣고 적재적소에 어울리는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메타버스와 가상융합경제의 필수인 블록체인, 가상자산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가이드라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