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고체 전해질 없는 전고체 이차전지 양극 개발...에너지밀도·가격경쟁력↑

English Translation

고체 전해질 없이 이황화티타늄만 사용
같은 용량에도 에너지밀도 1.3배 향상
기존 제조공정 활용해 가격 경쟁력↑
활물질만으로 이온 확산…상용화 계획

국내 연구진이 지난해 전고체 이차전지용 음극 구조를 개발한데 이어 이번에 양극 구조까지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원장 김명준)은 고체 전해질 없이 활물질로 이황화티타늄(TiS₂)만 사용해 양극을 구성하는 새로운 전극 구조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관련 성과는 지난달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에 온라인 등재됐다.

전고체 이차전지는 전해질로 고체를 쓰는 차세대 전지다. 고체 전해질은 화재로부터 안전하다. 또 바이폴라형 이차전지(내부에 전극이 직렬 연결된 고전압 이차전지)를 만들 수 있어 에너지 밀도 향상에도 유리하다.

김주영 ETRI 선임연구원이 전고체 이차전지 양극 소재를 관찰하는 모습
<김주영 ETRI 선임연구원이 전고체 이차전지 양극 소재를 관찰하는 모습>

전고체 이차전지 양극은 주로 전자 전도를 담당하는 도전재, 이온 전도를 담당하는 고체 전해질, 에너지를 저장하는 활물질, 이들을 잡아주는 바인더로 구성된다. 고체 전해질 구성비가 늘어나면 활물질이 적게 들어가 에너지 밀도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다. 또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이 포함된 복합 전극은 물과 반응해 황화수소 가스가 생성될 수 있어 용매 및 바인더 선택이 까다롭다.

ETRI는 고체 전해질 없이 TiS₂에 압력을 가해 입자 사이 빈틈을 없앤 활물질, 바인더로만 양극을 구성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공동연구팀 도움으로 리튬이온이 직접 TiS₂ 입자를 통해 확산하는 것을 확인했다. 고체 전해질이 없는 양극 구조로도 전고체 이차전지 성능을 구현했다. 활물질 함량이 늘어나 같은 용량에 에너지밀도를 1.3배 이상 높일 수 있는 점도 확인했다.

용매와 바인더 선택이 자유롭고 기존 리튬이온전지 극판 제조공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전고체 이차전지 성능 및 가격 경쟁력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해당 활물질을 나노화하면 전기화학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면서 본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존에 흑연을 기반으로 한 음극 구조를 개발한 경험과 노하우도 한몫을 했다.

이영기 ETRI 지능형센서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음극·양극 모두에서 활물질만으로 이온을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다”며 “에너지밀도를 더욱 향상할 핵심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상용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ETRI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전고체 전지 관련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전지 구조를 종합하면서 출력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도 병행할 계획이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