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교육 혁신과 대선 공약

[기자수첩]교육 혁신과 대선 공약

전문대 총장이 중심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가 2022년 대선 공약 과제를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입시 중심으로 서열화한 고등교육 체제를 바꾸자는 것이었다. 학문연구중심대학과 직업교육중심대학으로 나누고 학생 수, 재정난으로 폐교하는 한계사학의 퇴로 방안을 제시했다. 일반대 중심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측에서도 내년 대선을 앞두고 현안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선 공약 과제 개발에 들어갔다.

정치권에서도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의 한 명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교육부 폐지와 인재혁신부 창설, 학제 개편 방안을 담은 공약을 내놓았다. 대선 정국과 맞물려 후보별 교육 공약을 더욱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공약인 만큼 준비 과정도 남달라야 할 것이다. 이미 정당 차원에서 교육계 대표 교수진, 교육전문가, 시민사회단체, 청년 등을 모아 정책자문단을 구성하고 있다. 대선 때마다 등장하는 '싱크탱크'인 셈이다.

그러나 교육계 싱크탱크를 볼 때마다 구성원의 다양성에서 큰 아쉬움을 느낀다. 시민단체를 제외하면 전문가는 대부분 교육학과 관련 교수진으로만 채워지고, 정보통신기술(ICT) 계열 교수나 산업계 전문가는 명분상 2~3명 정도로 극소수에 해당한다. 미래 사회를 위한 교육을 준비하면서 기술이나 산업 요인이 여전히 낮게 평가되는 셈이다. 팬데믹 기간 원격교육시스템이 핵심 교육 인프라가 됐다. 대학에서 산·학·연 협력을 빼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한다면 단순히 아쉽다고 끝날 문제가 아니다. 싱크탱크부터 과감한 혁신이 필요하다.

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이미 위기에 놓여 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속설이라도 증명하듯 대학 입학자원 감소로 올해 신입생 미충원 대학이 속출했다. 인구 감소, 고령화, 지방대 폐교에 따른 '지역사회 공동화'마저 우려된다. 고등교육만 문제가 아니다. 4차 산업혁명 가속화와 팬데믹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이 빨라졌다. 탄탄한 경제사회의 근본은 우수한 교육 인프라에서 출발한다. 교육제도와 인재 양성 방식 전반에 걸친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출발은 교육 공약에서 시작돼야 한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