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선택적 금속 석출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 시대 앞당길 기술 개발

차세대 투명 디스플레이가 앞당겨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내 연구팀이 투명 산화물 반도체 내에서 전기를 흐를 수 있도록 빠르게 전자를 생성하는 간단한 공정을 찾아냈다.

포스텍(POSTECH·총장 김무환)은 손준우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통합과정 윤다섭 씨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격자구조 내에서 주석 금속을 '선택적으로 석출'하는 방법을 이용, 산소가 결핍된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박막 전기전도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할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손준우 교수(왼쪽)와 윤다섭 씨
<손준우 교수(왼쪽)와 윤다섭 씨>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 주석 산화물(BaSnO3)은 유리처럼 투명하면서 금속처럼 상온에서 높은 전기전도도와 전자이동도 때문에 차세대 투명 전자 소자나 자동차용 전력 반도체 소자로 응용할 수 있는 신소재로 여겨지고 있다. 전자 소자 응용을 위해서는 전기를 통하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주석(Sn)이 과주입된 BaSnO3 박막
<주석(Sn)이 과주입된 BaSnO3 박막>

반도체 내에서 전기를 통하게 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고온에서 환원 열처리를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전자 농도를 일관되게 제어하지 못해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박막 환원 열처리 후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양이온 반응물 조성비를 인위적으로 제어했고 고온 환원 공정 후에 전자 농도를 관찰했다.

그 결과, 주석(Sn)이 과주입된 BaSnO3 박막에서 전자 농도가 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란타늄(La)을 추가적으로 도핑 한 박막에서는 6000Scm-1의 높은 전기전도도를 보이는 투명 산화물 반도체 특성을 달성했다.

연구팀은 선택적인 금속 석출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반도체 내 투명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전기전도도를 증가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보였다. 이렇게 개발된 전자 도핑 원리는 주석 산화물 반도체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차세대 투명 반도체 소자, UV 검출기 소자, 자동차용 전력 반도체 소자로 응용될 수 있다.

손준우 교수는 “이 소재 원천기술을 이용하면 차세대 투명 반도체 소자나 전력 반도체 소자의 전기전도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실, 중견연구사업 및 삼성전자 DS 전략산학과제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