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문턱 높인 중국...K뷰티, 광군제 앞두고 긴장감 높아

지난해 서울 주요 도심 대형 전광판을 통해 공개된 LG생활건강 광군제 행사
지난해 서울 주요 도심 대형 전광판을 통해 공개된 LG생활건강 광군제 행사

중국이 화장품 규제를 강화하면서 화장품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1월 화장품 감독 및 관리 규정을 시행한데 이어 올 상반기에만 약 12차례 관련 법안을 제·개정 발표했다. 더욱이 지난 달 말부터 연예인 광고에 대한 제재가 시작되면서 연간 최대 쇼핑 행사인 '광군제' 매출에 타격을 받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달 27일 '무질서한 팬덤에 대한 관리 강화 방안'을 내놓고 연예인 출연 광고에 대한 제재를 시작했다. 일부 연예인 팬클럽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을 정지시키고 게시물을 삭제키도 했다.

여기에 중국 내 온라인 쇼핑몰이나 라이브커머스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면서 마케팅 활동에 제동이 걸렸다. 당장 오는 11월 열리는 광군제부터 문제다. 대부분 화장품 업체들은 현지 유명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등을 통해 마케팅을 벌이고 있어 예의 주시하는 상태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연예인 광고는 스팟성(단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아직 특별한 광고 규제는 없지만 진행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은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장품 관련 규제 강화 기조는 내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1월부터는 기미제거, 미백 등 기능성 화장품은 인체효능시험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일반화장품 역시 기존 기능성 화장품에만 해당됐던 연간 보고서를 모두 제출해야 한다.

최근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화장품 생산 및 운영 감독·관리 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올 1월 시행된 화장품 규정의 세부 법안으로 생산부터 시작해 운영(판매) 관리 전반에 걸친 기업 책임을 더욱 엄격히 한다.

아직 수출 업체에 대한 추가 규제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품질, 생산 허가가 까다로워지면서 허가 절차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규제는 대형 화장품 브랜드사보다 중소업체들에 더욱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약품관리감독국 발표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중국 내 화장품 라이선스 생산 기업 수 약 5680개사로 8만7000개 이상의 화장품 브랜드가 등록돼 있으며 제품 수는 160만개에 달한다.

코트라 상하이 무역관은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입지를 강화하려면 중국 소비시장의 트렌드 파악은 물론, 하반기에도 이어질 추가 규정의 제정 동향과 현지 업계 반응을 지속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효주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