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CEO만난 이재명 "'청년 채용' 과감히 늘려달라" 주문

삼성전자 등 10대 그룹 CEO와 간담회
"ESG 경영 일환으로 채용 확대를" 요청
손경식 경총 회장 "기업인 처벌조항 많아
중대재해처벌법 등 규제 현실화" 제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두번째)가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연합회에서 열린 10대 그룹 CEO 토크 넥타이 풀고 이야기 합시다에서 참석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두번째)가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연합회에서 열린 10대 그룹 CEO 토크 넥타이 풀고 이야기 합시다에서 참석자들과 토론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2일 1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일환으로 청년 채용을 과감하게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이 후보는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경총 회장인 손경식 CJ그룹 회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현대차, SK, LG 등 10대 대기업 CEO를 만나 △청년채용 △규제 △안전 문제 등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모두발언에서 “청년 세대에 대해 기성세대 일원으로 빚을 지고 있다. 그 빚은 우리는 고도성장기에 많은 기회를 누리면서 성취를 이뤄내고 성공해서 사회적 위치를 차지했다”며 “그러나 그 과정에서 간과한 게 있다. 불공정과 불평등의 문제를 방치하는 바람에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 의제가 될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자원의 불공정, 불평등 배분이 사회 전체 효율과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한 이유가 됐다”며 “기회의 부족은 경쟁의 격화를 말하는데, 저성장 피해와 고통을 젊은 층이 떠안게 된 것 아닌가 생각한다. 기회 총량 부족 때문에 갈등 격화 시대까지 오게 됐다”고 분석했다.

이 후보는 “구조적으로 성장을 회복해야 하고, 회복하려면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와 관심이 필요하겠다”며 “경총에 가입한 기업들이 청년들이 어려운 시기니까, 구조적으로 계속될 문제는 아니니까 ESG 경영 일환이라고 생각하고 청년 채용을 과감하게 늘려달라”고 했다.

또 “기업 경영에서 이윤을 추구하는 게 기업 욕구이고 자본시장 경제 토대이기 때문에 이익 최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전혀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 문명 발전의 원동력이기도 하기 때문”이라며 “그 속에 사회적 공헌 부분도 하나의 동기가 될 수 있겠다. ESG 경영 일환으로 청년 채용에 대해 각별히 한 번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을 드린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가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연합회에서 열린 10대 그룹 CEO 토크 넥타이 풀고 이야기 합시다에 앞서 손경식 경총회장으로부터 경영계 건의서를 전달받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가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연합회에서 열린 10대 그룹 CEO 토크 넥타이 풀고 이야기 합시다에 앞서 손경식 경총회장으로부터 경영계 건의서를 전달받고 있다.

이날 경총은 중대재해처벌법을 두고 현실에 맞게 수정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우리나라에는 여러 법 규정에서 '기업인 형사 처벌' 조항이 너무 많아서 높은 형사법적 리스크를 감수하고 있다”며 “중대재해법이 대표적인 예로 보완하지 않으면 많은 기업이 잠재적 범죄자로 내몰릴 형편이다. 현실에 맞게 수정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 후보는 “당장 어느 회사 아파트 신축 과정에서 아파트가 무너져 국민이 걱정을 한다. 이게 기업과 국민 안전이 충돌하는 부분”이라며 “안전은 안보에 관한 문제니까 엄격히 할 필요는 있다”고 답했다.

이어 “그러나 그게 부당하고 과하게 기업 활동을 억제하는 수준까지 발전하면 안 될 것”이라며 “양자 조화를 이루는 게 좋겠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런 문제에 대해서 합리적 토론을 통해서 하나의 합일점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이 후보는 규제를 두고 “일방적 규제 '강화'도 옳지 않지만, 일방적 '완화'도 옳지 않다”며 “지나친 독점 문제나 자원배분 비효율 침해하는 시장 지배력 남용은 그걸 억제해야 합리적 경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과감히 철폐, 완화하는게 맞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산업 창출이나 신속한 산업 전환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문제되는 것을 제외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허용하고, 사후 규제하는 식으로 전환하는게 맞을 것 같다”며 “규제 일방적 방향은 그렇게 바꾸는 게 좋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