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KAIST 공동연구팀, 금속촉매 용출 공정기술 개발

전남대(총장 정성택)는 송선주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정우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가습 산화분위기에서 엑솔루션 반응 제어로 금속촉매 용출 공정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나노입자 금속촉매는 전기화학 전극 반응을 향상시키는 주요 인자로, 삼상경계면 확장을 위해 전극 표면에 균일 분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연구팀은 고온 용출에 반드시 요구되는 환원분위기와 양이온 격자결함없이 수증기와 전자결합만으로 다종이온전도성 전극소재에서 수증기가 전자결함을 포식하는 반응을 통해 나노입자 금속촉매 표면 분포를 정량적으로 제어하는데 성공했다.

전남대·KAIST 공동연구팀의 금속촉매 용출 공정기술 개발 모식도.
전남대·KAIST 공동연구팀의 금속촉매 용출 공정기술 개발 모식도.

기존에는 외인성 결함 등을 인위적으로 생성해 용출반응을 위한 우호적인 구조제어 연구에 초점을 맞춘 반면 연구팀은 소재 고유한 내인성 결함특성을 바탕으로 조성과 구조 변화없이 균일 금속촉매 용출반응을 제시했다.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적 난제일수록 소재 기초물성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기초과학에서 해답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김준혁 KAIST 박사는 엑솔루션 반응제어를 열역학적 변수의 함수로 최적화시켰고, 용출반응을 위해 격자결함이 가해지는 내부 힘을 제어했다. 홍재운 전남대 박사는 최적공정을 적용해 프로톤 전도성 고체전해질 기반 고체산화물연료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고 전극 반응에서의 금속 용출상의 역할을 설명해 내어 삼상 계면에서의 촉매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진의 가습산화성 엑솔루션 기술은 화학적 안정성이 제한된 전기화학소재에서도 나노촉매 표면 형성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노입자 촉매가 활용되는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ERC)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재료·화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영국 왕립학회 '에너지 앤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온라인에 게재됐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