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올해 AI기반 스마트 통합 물관리 선보인다”

충청북도 충주댐에서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드론을 이용해 댐 상류를 살피고 있다.
충청북도 충주댐에서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드론을 이용해 댐 상류를 살피고 있다.

환경부가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이수·치수·환경 전 분야에 접목해 사전 예측, 실시간 통합·집중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통합 물관리 정책'을 올해 본격 추진한다.

환경부는 24일 강원도 춘천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개최, 2022년 하천관리일원화 이후 환경부의 물 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먼저 '물 재해의 사전 예측 및 맞춤 대응 시스템'을 구축한다.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사전예측 관리, 실시간 관리, 원격 관리, 통합·집중 관리를 실현한다. 기존에 사람이 하던 홍수 예보를 2025년부터 AI를 활용해 보다 신속한 예보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관련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강우레이더 작년 9개소에서 2025년 16개소, 2028년 23개소로 확대한다.

또 2027년까지 5대강(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의 댐과 하천 정보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해 홍수와 가뭄을 사전에 예측·대응한다.

국가하천 73개 3600㎞ 구간을 대상으로 2023년까지 2820곳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홍수 등 하천 상황을 관리한다. 하천 배수시설 1982곳을 하천·내수 수위에 따라 원격으로 자동 조작하는 체계를 올해 말까지 완성해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 현재 집중 호우 시 사람이 현장에서 직접 조작하고 있는데 향후 상황실에서 원격 조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스마트 댐 안전관리 체계를 2025년까지 완성해 AI를 활용해 댐의 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사전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원수에서 수도, 하·폐수까지 전 과정의 물 실시간 관리'에 나선다. 취수장과 정수장, 하·폐수처리장 뿐 아니라 각 시설의 말단 관망에 이르기까지 물의 수량과 수질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한다. 전국 161개 지자체와 31개 광역 취수장, 43개 광역 정수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 체계를 내년까지 완성하고 실시간으로 먹는 물의 수량과 수질을 감시·제어, 깨끗한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지방단위에 올해 국비 8751억원을 투입하고 내년까지 광역단위에 707억원을 투입한다. 또 공공하수처리시설 14개와 소규모하수처리장 618개를 대상으로 2024년까지 국비 4512억원을 투입해 스마트 하수도 관리체계를 구축,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물 이용 전 과정을 실시간 관리한다.

지표수와 지하수를 통합 관리하고, 국가하천 수질도 나노 단위로 관리한다. 이를 위해 지표수 측정망 2019개소, 토양측정망 2000개소, 지하수 측정망 813개소를 연계한다. 또 지하수량 고갈 우려 지역을 예방관리지역, 중점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으로 세분화해 지하 수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나노 단위의 수질 관리 강화를 위해 4대강 전 수계로 미량오염물질 측정센터 설립, 미규제 50종 미량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해 수질 관리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