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가 시행 15개월여간 계약금액 1256억원을 달성하며 공공분야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을 위한 핵심 제도로 자리매김했다. 전문 중소업체 성장 지원은 과제로 남았다.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따르면, 1월 25일 기준 디지털서비스 누적 계약건수는 267건, 총 계약금액은 약 1256억 1561만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10월 제도가 시행된 지 15개월여 만이다.
계약 중에는 수의계약이 142건, 카탈로그 계약이 125건으로 나타났다. 카탈로그 계약은 수요기관이 원하는 대로 계약조건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신설한 제도로, 이용 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클라우드 도입 절차를 간소화, 공공분야 클라우드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조달청이 협력해 운영한다.
조달요청, 사전규격, 입찰공고, 입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계약 등 수개월이 필요한 기존 입찰 절차를 디지털서비스 검색, 선택 및 협의, 계약 및 납품 등으로 간소화했다.
디지털서비스 심사위원회가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사전 심사해 등록하기 때문에 수의계약 등을 통해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긴급 수요가 있을 때 도입이 지연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홍사찬 과기정통부 인터넷진흥과장은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달청과 지속적 서비스·시스템 개선을 협의하고 있다”며 “아직도 제도를 잘 모르는 기관이 있어 올해는 홍보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한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등 중소 전문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사업구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현재까지 기업유형별 계약은 중견기업 계약금액이 약 1063억원으로 전체 계약금액 85%를 차지한다.
중소 SaaS 전문업체 고위 관계자는 “현재 사업구조에서는 중견 시스템통합(SI)·네트워크통합(NI) 기업이 사업 규모를 앞세워 수의계약을 차지하고 있다”며 “MSP, SaaS, PaaS 전문 중소업체가 발전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의 본질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PS)와 MSP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SW 기반 유연한 업무 환경을 지원하는 것”이라며 “단순한 IaaS 마이그레이션 중심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중소 전문기업 참여 기회를 확대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행정력이 추가될 수 있겠지만 분야별로 전문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 규모(20억원 이하, 40억원 이하 등)로 사업을 분리해 추진하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