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뱅크 “전통은행과 차이, 슬림한 '서비스 쪼개기' 구조”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IT서비스학회에서 토스뱅크 박준하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디지털뱅크 세션에서 IT 서비스 아키텍처 변화와 은행 시스템 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IT서비스학회에서 토스뱅크 박준하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디지털뱅크 세션에서 IT 서비스 아키텍처 변화와 은행 시스템 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박준하 토스뱅크 최고기술책임자(CTO)가 18일 IT서비스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에 연사로 나섰다.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박 CTO는 IT 서비스 아키텍처 변화와 은행 시스템 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CTO는 “현재 대부분의 은행들은 굉장히 큰 모놀리틱 시스템을 운영하며, 거의 20, 30년전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며 “하지만 IT서비스 기반의 회사들은 그렇지 않으며, 이것이 토스뱅크가 기존 은행들과 다른 이유”라고 강조했다.

토스뱅크가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라고 불리는 체계'다. 전통적인 금융권이 갖추고 있는 모놀리틱 시스템과 달리, 각각이 서비스별로 쪼개지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로 인해 토스뱅크의 경우 여신 수신 카드 서비스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분리되며, 시스템의 직접적인 참조 대신 HTTP API 등의 통신을 통해서만 참조를 진행한다.

박 CTO는 이를 두고 “기존 모놀리틱 시스템에 비해 매우 슬림해진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됐다”며 “쪼개지는 서비스가 많아졌지만 리소스 낭비 등의 문제는 기술 발전으로 대부분 해결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상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물리적인 리소스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돼 서비스를 쪼개는 과정이 낭비로 이어지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기존 금융권이 제기하는 각 모듈간 정보 공유의 단절 문제, 네트워크간 빈번한 호출에 따른 레이턴시 영향 극대화 문제 등도 상당 부분 해결했다. 동시에 유연한 변경과 새로운 서비스의 배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더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한다.

토스뱅크가 기존 은행과 가장 큰 차이점은 채널계가 전달자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수행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모놀리틱 시스템인 계정계가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테스트 자동화, 서비스 배포 시점의 문제 인지 및 빠른 롤백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박 CTO는 “토스뱅크도 계정계는 은행 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하는 과정에서 아직은 과도기적으로 기존 금융사의 것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또한 점차 토스뱅크만의 모습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현재 추가되는 서비스는 채널계 서버에 반영해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두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