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AI반도체, 우주, 오픈랜 등 실질협력 기반 조성 성과"

한미 정상회담 핵심성과
세계 최고 기술 선제 확보 목표
산업·인력간 교류 방안 구체화
과기정통부, 산학연 협력 고삐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에서 신경망처리장치(NPU)와 차세대메모리(PIM) 등 산·학·연 협력사업을 본격화한다. 우주와 6세대(6G) 이동통신 오픈랜 분야에서도 미국과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 기술력을 선제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삼성전자 평택공장 방문일정을 밀착 수행한 것을 비롯해 양국간 '기술동맹'을 강조한 공동성명문 작성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과기정통부는 한·미 정상회담 후속과제에 따라 △반도체 △우주 △원자력 △AI 등 첨단기술 △오픈랜 △사이버보안 6대 분야에서 협력을 전담하는 것이 유력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산업협력과 인력협력 방안 구체화와 원칙에 대해 협의한 게 가장 큰 성과”라며 “정상회담 성과를 기반으로, 우리 산업이 성장할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구체화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반도체 분야와 관련, 과기정통부는 2020년부터 총 1조원을 투입해 NPU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정부과제를 통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텔레칩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NPU 제품 상용화에 성공했고, 민간에서는 퓨리오사, 리벨리온, SK텔레콤 등이 제품을 상용화했다. 올해 메모리와 연산기능을 통합한 PIM 반도체 개발사업에 4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개발된 국산 칩셋이 산업적으로 잘 활용돼 성장 동력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목표다. 이에 따라 이 장관이 직접 나서 산·학·연의 현장 의견을 듣고, 대규모 인프라 구축과 인력양성에 초점을 둔 방향으로 AI 반도체 정책을 수립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분야 소프트웨어(SW) 기술력이 강한 미국과 하드웨어(HW)가 강한 한국간 기술·인력 교류도 강화할 방침이다.

첨단기술 분야에서 한·미 양국은 AI와 양자기술, 바이오기술, 자율로봇 등 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전문인력 교류를 확대할 방침이다.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에 대한 실질적 인력교류를 통해 양국의 기술력을 동반 제고하는 효과를 노린다.

오픈랜은 한·미 정상회담 의제에 또다시 포함되며 중요성이 강조됐다. 5G는 물론 6세대(6G) 이동통신에서도 양국간 협의로 개방형 표준에 기반한 오픈랜 기술을 확대하고, 공동 연구를 확장할 방침이다. 양국은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도 자금세탁,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보호, 군 당국간 사이버 협력 등 전방위적 협력체계를 마련한다.

우주 분야에서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등 우주 탐사 프로그램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2016년 이후 중단됐던 '한·미 민간 우주대화'를 재개해 협력 체계를 복원한다. 원자력 분야는 한미원자력 고위급위원회 활성화를 비롯, 한미 핵연료주기 공동연구, 파이로프로세싱(사용후 핵연료 처리기술) 국내 실증을 위한 미국의 장기동의 협의에 착수하는 성과를 확보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