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트]이정원 세미솔루션 대표 "유연한 시스템반도체 개발 환경이 성패 가른다"

[人사이트]이정원 세미솔루션 대표 "유연한 시스템반도체 개발 환경이 성패 가른다"

“이제 시스템반도체 설계·개발은 '유연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기존 폐쇄적인 생태계로는 급변하는 반도체 공급망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반도체 설계와 생산의 상호 협력을 가로막는 장벽을 허물고 교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시장 수요에 적기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정원 세미솔루션 대표는 시스템반도체 개발의 패러다임이 전환됐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반도체 설계 능력 등 기술 역량이 중요했다면 이제는 공급 역량이 시스템반도체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의미다. 시스템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세계적으로 공급망이 재편된 영향이 크다. 얼마나 빨리 고객이 원하는 시스템반도체 칩을 개발하고 양산하느냐가 생존을 판가름하게 됐다. 이 대표는 “공급 능력은 팹리스기업과 서비스기업, 파운드리전공정기업, 패키지테스트 후공정기업 등 전 생태계의 강력한 결속을 전제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가 진단한 국내 시스템반도체 개발 생태계는 폐쇄적이다. 독자 기술력에만 매몰돼 생태계 간 교류의 장이 그동안 철저하게 단절되어왔다는 지적이다. 뛰어난 기술보안성을 확보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하지만 이 대표는 보안과 폐쇄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제는 팹리스 한 곳에서 반도체 설계를 다하는 시대는 끝났다”면서 “시스템온칩(SoC) 하나를 만들더라로 다양한 반도체 설계자산(IP)를 공유해야 하고 칩의 확장성을 요구받는다”고 말했다.

미국과 대만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가 탄탄한 것도 이런 유연성에 기인한다는 것이 이 대표 생각이다. 미국과 대만 팹리스 경우 첨단 IP는 보호하되 필요에 따라 상호간의 라이선스를 적극 공유한다. 시스템반도체 IP 개발 때부터 상호호환성을 염두에 둔다. 이런 유연성은 '타임 투 마켓', 즉 시장에 시기적절하게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했다.

이 대표가 세미솔루션을 시스템반도체 플랫폼 서비스 기업으로 키우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18여년간 시장이 요구하는 주문형 시스템 반도체 개발 서비스를 제공해온 세미솔루션은 IP 개발부터 설계, 양산 등 전주기 생태계에서 상호 협력을 강조했다. 시스템반도체 분야 시스템통합(SI) 서비스가 비즈니스모델이다. 설계와 양산 등 필요한 역량은 내부자원뿐만 아니라 외부자원을 적극적으로 발굴 및 협력해 신속하게 시장에 공급한다. 세미솔루션과 협업하는 시스템반도체 설계 엔지니어와 IP 기업은 국내뿐 아니라 대만 등 세계적으로 포진해 있다.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다수의 파운드리사와 협력을 견고히 한 결과 시스템반도체 양산도 병목없이 적기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했다.

이러한 세미솔루션 역량은 제품 개발 성과로 이어졌다. 세미솔루션이 주문을 받아 개발 공급한 시스템반도체 제품은 180나노미터에서 28나노미터까지 다양한 공정 포트폴리오를 자랑하며 다양한 응용 분야를 대상으로 개발한 제품 수만 해도 최근까지 150여종 이상을 시장에 공급했다.

이 대표는 시스템반도체 개발도 '메타 비즈니스'로 변화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언제 어디서 누구든 시스템반도체 개발·생산이 이뤄지는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란 의미다. 세미솔루션과 같은 반도체 '서비스' 기업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이 대표는 메타 비즈니스 시장에 대비해 서비스 역량을 키울 방침이다. 관련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도 검토하고 있다.

이 대표는 “기존 환경으로는 시스템 반도체 시장 확대와 성장에 대응하는데 한계에 다다른 만큼 혁신적인 사고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면서 “누구나 신속하게 시장이 원하는 시스템 반도체 제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ICT 융합형 하드웨어 플랫폼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