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의 미리 가 본 미래]〈45〉스마트시티의 개념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박정호 명지대 특임교수
박정호 명지대 특임교수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라는 단어를 활용한 도시 계획이 점차 늘고 있다. 스마트시티라는 단어를 활용하는 다양한 개발 사업의 세부 내용을 보면, 스마트시티 개념이 경제수준이나 국가, 지역 혹은 도시별 정책에 따라 상이하며 보편적으로 활용 가능한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스마트시티를 바라보는 선진국과 신흥국의 관점은 크게 다르다.

선진국의 경우, 낙후됐지만 이미 존재하는 도시기반시설의 최적 활용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스마트시티를 추진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도시 인프라를 이미 구축한 국가이기에 기존에 구성된 요소가 많다. 그럴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요소 중에서는 기존 시설물을 허물고 새로운 시설물로 대체하기 어려운 문화유산 또는 사유지 등 기존 시설물도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너지 절감, 환경 보호, 이상 기후 현상에 대한 대응 등 도시 자체에 요구되는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스마트시티를 활용하고 있다.

신흥국 등 개발도상국은 도시화 정도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도시기반시설 건설 시 스마트시티 시설을 적용해 기술 단계를 건너뛰는 방안으로 관심이 높다. 스마트시티를 조성해 도시에서 미래 신산업에 해당하는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등을 실증하고 육성하기 위한 기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스마트시티는 도시형 스마트시티와 농촌형 지역 기반 스마트시티로도 구분할 수 있다. 도심형 스마트시티는 글로벌 도시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출발한다.

2000년부터 2030년까지 30년간 증가하는 도시 규모는 유사 이래 도시 성장 규모를 합친 것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는 1950년 7억 7500만명에서 2018년 42억 명으로 급격히 증가한 상황이다. 현재 세계 인구 55%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지만 2050년이 되면 68%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시는 지구 육지 면적의 불과 5%를 차지하지만 세계 에너지 70%를 사용하고 있다.

빠른 인구 증가 및 도시화, 경제 성장에 따른 자원 수요 폭증은 결국 도시의 생존 및 지속가능성을 위협할 것으로 예측된다. 도시형 스마트시티는 이러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색된다.

이에 반해 점차 축소되는 농촌 또는 지역 도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의 경우에는 목적성이 다르다. 이들 축소 지향적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 역시 지속적으로 국가로부터 안정적 정주 여건을 받을 권리가 있다. 하지만, 점차 거주민이 줄어드는 도시에 금융, 교통, 상·하수도, 전력 등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은 비용 관점에서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거주민에게 안정적 정주여건을 제공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 대안 중 하나로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혹은 스마트 빌리지를 조성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열거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등장 배경으로 인해 스마트시티 범위는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에 어려움 역시 존재한다. 스마트시티는 단일한 개념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내 재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정보통신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공간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것이다. 어쩌면 스마트시티의 가장 적합한 정의 역시 여기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박정호 명지대 특임교수 aijen@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