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 재도약 필요"

정부가 코로나19로 침체기에 있는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을 다시 확대하기 위해 비자 발급 제한을 완화하고 외국인 대상 비대면 진료 제도화 등 전략을 추진한다.

이행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전략단장은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메디컬코리아 2023 넥스트노멀 시대, 국제의료 리스타트 전략 포럼을 통해 “코로나19 여파로 급감한 해외 환자 유치 회복과 재도약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출입국 제한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메타버스 등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한국에 방문하기 전 사전 상담부터 귀국 이후 사후 관리 서비스까지 확대해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2009년부터 외국인 환자 유치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한 이후 국내를 방문한 누적 해외 환자는 300만명을 돌파했다. 2019년 기준 해외 환자는 동반가족 포함 49만7464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치국가도 2009년 139개에서 2021년 191개로 증가했고 진료과목도 성형·피부과 중심에서 검진, 정형외과, 산부인과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2019년 기준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국내 생산 5조4981억원, 부가가치 2조5678억원에 이르고, 의료관광 취업유발계수는 13.3명으로 제조업 7.6명, 전 산업 평균 11.2명과 비교해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힌다. 특히 관광과 쇼핑 등 타 산업으로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와 고용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해외 환자 유치는 2020년 11만명, 2021년 15만명으로 급감한 상태다. 해외 환자가 국내에 입국하기 위해서는 의료관광비자 또는 치료요양비자가 필요하지만 엄격한 출입국 절차, 감염병 확산이나 국제 정치 상황 등 외생변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일본, 태국, 터키, 아랍에미리트(UAE), 말레이시아 등 주요 경쟁국 역시 의료데이터 공유, 무비자 발급, 맞춤형 결제시스템 도입, 인바운드 전문 기구 설치 등 공격적인 유치 정책을 펼치고 있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 단장은 “출입국 제한을 완화하고 비자 신속 발급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 및 진료과목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의료와 관광의 연계를 강화하고 진료 과목 등을 고려한 국가별 전략적 유치를 추진할 것”이라며 “외생변수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인 환자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