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포용금융, 지속가능한 생태계 만들어야

지속가능한 포용금융 생태계를 만들어야 할 때다.
지속가능한 포용금융 생태계를 만들어야 할 때다.

한국이 금융 포용성 지수 3위를 기록하면서 상생금융 강국으로 부상했다.

프린시플 파이낸셜 그룹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40여개국가 중 포용금융부문에서 한국이 첫 톱10에 진입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혁신펀드와 핀테크지원센터 등 프로그램 확대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포용금융은 '고금리와 유동성 위축'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소상공인·벤처기업 등 취약 계층에 동아줄과도 같은 지원방안이다.

일각에서는 아예 포용금융을 사회 환원 활동이 아닌 별도 수익모델이 될 수 있는 금융서비스로 고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렇다면 포용금융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확대해야 할까.

그간 금융산업은 전통 금융사의 독과점 비효율성이 문제가 됐다. 이 때문에 포용금융 확대는 마치 기업이 손해를 보고 장사해야 한다는 부정적 기업관이 존재했다.

이 같은 구조를 바꿀 수 있는 건 핀테크가 대안이다.

핀테크를 접목해 시간·공간적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공간 비용, 인건비 절감에 따른 가격하락효과, 또 재무데이터에만 의존하던 기존 평가와 달리 SNS 등 비재무적 빅데이터를 통한 대안 신용평가로 대출 및 투자영역을 넓힐 수 있다. 취약계층에게까지 금융 이용을 끌어낼 수 있다.

시장에선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매출채권관리서비스, 경제기반이 취약한 20대 취준생 대상의 후불 직무교육서비스, 10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입시진학 무료 서비스 등 극히 다양한 포용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 범주를 늘려 P2P(Peer to Peer)와 크라우드펀딩 , 대안보험상품 등을 대안 서비스로 더욱 확대해야 한다.

P2P는 활용하기에 따라 최적의 포용금융이 될 수 있다.

정보기술(IT)로 수많은 소액대출을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때 부실 논란에 빠지기도 있지만, 지금은 업권 전체적으로 소상공인 대안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도 상당히 진행됐다.

크라우드펀딩 또한 소액이지만 투자자가 워낙 많아서 자금조달 외에 마케팅·홍보와 매출 증가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제 한국도 모든 취약계층이 제도적인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 실천에 나서야 한다. 정부 뿐 아니라 민간 금융이 모두 참여해 진정한 상생금융을 확대해야 할 때다.

길재식 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