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농협은행(행장 강태영)이 은행권 최초로 금융상품 추천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서비스를 선보인다. 올 초 강태영 행장 취임 후 목표로 삼은 '디지털 리딩뱅크'에 박차를 가한다
16일 NH농협은행에 따르면 이번 주부터 일선 영업점 업무에 'AI추천 어시스턴트 서비스'를 적용한다. 기존 설명가능 인공지능(XAI) 기반으로 제공했던 상품추천 결과에 거대언어모델(LLM)을 더해 대화형 추천 사유를 제공한다. 예측형 AI와 생성형 AI(온프레미스 방식)를 결합한 은행권 최초 AI 상품추천 대고객 서비스다.
기존 상품 추천이 고객별로 우선순위만 제시했다면 AI추천 어시스턴트 서비스는 △상품군 니즈 △고객특성 △상품주요특성 △시장상황 △시장이슈 요약 △핵심뉴스 요액 등 항목을 대화형으로 직원에게 노출한다. 직원은 이를 바탕으로 고객 요구사항에 적시 대응이 가능해진다.
NH농협은행은 이번 서비스에서 한국어·한국 문화에 특화되도록 파인튜닝한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해 추천에 적합한 문장을 생성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국내외 최신 시장상황 등 외부 데이터를 반영해 보다 완결성 높은 상품추천이 가능해졌다. 또 RAG(검색증강기술)를 적용해 생성형 AI '환각현상'을 예방하고, 더 유연하고 창의적 답변이 가능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사회초년생인 직장인 고객에게는 노후대비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절세혜택이 있는 상품인 개인형 퇴직연금 상품을 추천한다. 시장 금리가 하락하고 있다면 주택구입 니즈가 예측되는 고객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상품추천 설득력을 높였다.
농협은행은 올해를 기점으로 빠르게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다. 강태영 NH농협은행장은 올 초 취임 후 “금융 패러다임을 대전환 해 디지털 리딩뱅크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비대면·플랫폼 중심으로 재편되는 고객접점을 반영한 새로운 고객 전략을 제시하고, 고객 일상에 금융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다양하고 편리한 디지털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연초부터 오픈이노베이션,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와 업무 자동화로 효율성과 혁신성을 제고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앞으로 AI추천 어시스턴트 서비스를 확장 적용할 계획이다. 상반기 내 비대면 서비스에도 별도 영역으로 적용하고, '금융소비자보호에관한법률' 프로세스도 추가해 투자 등 전 상품군으로 AI 추천을 확대한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본 서비스는 예측형 AI와 생성형 AI를 결합한 금융상품추천 특화 모델”이라면서 “하반기에는 NH올원뱅크 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에서도 만나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