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강업계가 정부에게 미국이 수입 철강재에 부과한 25% 관세 면제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했다. 정부는 업계 의견을 경청해 이달 중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안덕근 장관 주재로 '미국 철강 관세 관련 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희근 포스코 사장,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 박성희 KG스틸 사장, 이경호 철강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서명한 '미국으로의 철강 수입 조정' 행정명령이 우리나라 시간으로 지난 12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됐다. 이때부터 모든 수입산 철강, 알루미늄에 25% 관세가 부과됐고 우리나라에 적용됐던 연간 263만톤(t)에 대한 무관세 쿼터제도 폐지됐다.
철강업계는 이번 간담회에서 각 사별 대응 방안을 공유하고 정부에게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철강업계는 미국의 25% 관세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건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또 강관, 도금, 주석도금 등 우리나라 철강사가 수출하고 있는 다양한 철강재 품목의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 마련도 건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중국산 저가 철강재 등 불공정 수입재에 대한 제재를 통해 내수 시장을 지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정부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최대 38.02%의 관세를 부과했고 일본, 중국산 열연강판 반덤핑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중국산 도금·컬러강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도 상반기 중 이뤄질 예정이다.
이날 안 장관은 최근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를 비롯해 철강산업의 대내외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3월 중 조속히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어 현재 방미 중인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한 고위급 교류를 통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안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면담해 상호관세 등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며 “이런 논의의 큰 틀에서 철강 관세도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불공정 무역 시도가 더욱 빈번해질 것이 우려되고 있어 정부는 이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며 “불공정 수입에 대해 우회덤핑, 수입재 모니터링 등 통상 방어 기능 강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철강업계 차원의 노력도 당부했다. 그는 “높은 불확실성을 상수로 보고 고부가제품 중심 투자 및 수출 전략을 전향적으로 검토해달라”면서 “정부도 이러한 방향에 초점을 맞춰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