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학장들 “의학교육 정상화, 새정부 출범과 무관”

정부가 의대생의 3월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전격 수용하기로 했다. 사진은 9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의대생의 3월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전격 수용하기로 했다. 사진은 9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의과대학 학장들이 의대 정상화는 새정부 출범과 무관하게 진행되며 학칙 준수 방침에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40개 의과대학 학장들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15일 입장문을 통해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의 목표는 확고하며 이는 새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인식해야 한다”며 “정치적 상황이 학사유연화 등의 여지를 줄 수 있다는 판단은 정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KAMC는 “교육부, 의총협은 2025학년도 학사운영은 학칙 준수가 기본 방침이며 의과대학 학장은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며 “학생들은 학사 일정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유급 시한 전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과대학 4학년에게는 복귀 시한을 넘길 경우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하다고 안내했다.

KAMC는 “의사국시 원서접수는 졸업생 및 졸업예정자만 가능하다”며 “1학기 성적 마감 시점까지 임상실습과 평가가 마무리되지 못해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접수가 불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이미 고려대 의대의 경우 지난 11일을 유급예정일로 발표했고, 각 대학별로 학사일정에 따른 유급 시한이 정해져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1학기 유급시한 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24학번과 25학번의 분리교육이 불가하거나 무의미하다는 점도 재차 짚었다.

KAMC는 “24학번의 2030년 여름 졸업을 위한 최소한의 법적 학업 기간을 확보할 수 없다”며 “정해진 수업 참여 기한을 넘겨 후배와 미래의 의사양성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지 않도록 숙고할 것을 촉구한다다”고 전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