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지자체 무료 교육에 경쟁력 잃은 대학 평생교육원, “대학 특성 살린 프로그램 개발해야…컨트롤 타워 필요”](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5/11/news-p.v1.20250511.568ed0c70548465b913ca4efb02dd571_P1.jpg)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 위기 등의 대안 중 하나로 '평생교육'을 꼽는 대학이 늘고 있다. 최근 서울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 사업' 가운데 10개 대학을 선정하는 서울 평생교육 고도화 단위 과제에 31개 대학이 지원하는 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늘었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의 '대학(원)부설 평생교육기관 현황'에 따르면, 2007년 375개에서 2024년 417개로 증가했다. 특히 지방 대학의 경우, 대학 운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강화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실제 대학 관계자들은 평생교육을 운영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고 하소연한다. 평생교육을 진행하는 기관이 전국적으로 너무 많아 대학만의 평생교육을 내세우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평생교육원 관계자는 “대학뿐 아니라 정부, 지자체, 재단 등 평생교육 운영 기관은 포화 상태”라면서 “서울의 경우, 양적인 팽창은 더 이상 안 해도 될 정도”라고 꼬집었다.
특히 정부, 지자체 등에서 무료로 평생교육을 진행하는 곳이 많아 대학 평생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다수의 대학이 강사료 책정 등과 같은 '수업료' 문제로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 평생교육은 싼 가격에 받을 수 있는 수업이라는 사회적 인식도 한몫한다.
트렌드에 따라 우후죽순 생겨나는 교육 프로그램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특정 분야나 주제가 인기를 끌면 대학뿐 아니라, 지자체, 사설 평생교육원까지 관련 프로그램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기관별 교육의 차별점을 찾아보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한 전문대 평생교육원 관계자는 “수강생이 몰리는 프로그램이 생기면 경쟁적으로 여러 평생교육 기관에서 비슷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만든다”면서 “각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개설을 막을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의 가이드 라인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에듀플러스]지자체 무료 교육에 경쟁력 잃은 대학 평생교육원, “대학 특성 살린 프로그램 개발해야…컨트롤 타워 필요”](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5/11/news-p.v1.20250511.0078d0852b5244448855d76ecddb4863_P1.png)
평생교육 전문가들은 대학의 평생교육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질적 성장에 초점을 맞춰 변화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평생교육을 운영하는 대학은 많지만, 과연 교육의 질을 담보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대학별 특성을 살린 평생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지자체 평생교육원이 세금을 기반으로 취미 활동 위주의 평생교육을 맡고 있다면, 대학은 인적·물적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직업교육'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지방의 경우, 정주 인력을 통해 지역과 대학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 시급하기 때문에 직업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이 시급하다.
라이즈 사업의 평생교육 분야에서도 각 대학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올해 라이즈의 평생교육 분야에 지원한 한 대학 관계자는 “지자체가 제시한 프레임에 맞춰 사업 제안서를 준비하다 보니 꿰맞추기식으로 된 부분이 있다”면서 “대학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 산하에 대학 평생교육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컨트롤 타워'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일반대 평생교육원 관계자는 “중복되거나 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대학의 평생교육과 관련한 부분을 전체적으로 총괄할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