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신한은행에 챗GPT 기반 기업용 AI 서비스 구축

서울 강서구 LG CNS 본사 전경. 회사 제공
서울 강서구 LG CNS 본사 전경. 회사 제공

LG CNS가 신한은행 직원과 고객을 위한 챗GPT 기반 기업용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11월 금융사 9곳의 서비스 10건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 외부통신망(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우드(생성형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LG CNS는 신한은행 직원의 업무를 돕는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개발했다.이 서비스는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의 챗봇을 챗GPT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등으로 고도화한 버전이다.

신한은행의 업무지식, 상품설명서 등 10만건이 넘는 방대한 금융지식을 바탕으로 고품질 답변을 생성한다. 예컨대 '신한은행에서 발행하는 대출상품 알려줘', 'A 저축상품 가입 시 가입자별 필요 서류 알려줘'와 같은 질문에 답변하는 식이다.

신한은행 'AI 은행원'도 챗GPT로 고도화했다. 신한은행은 AI 은행 무인영업점 'AI 브랜치'에서 다양한 창구 업무를 실제 행원처럼 처리하는 AI 은행원을 활용하고 있다.

이번에 챗GPT로 성능이 강화된 AI 은행원은 창구 업무 수행 중 고객 문의에 챗GPT를 활용해 보다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응답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챗GPT 기반 AI 은행원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내 서소문 지점을 시작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보안도 강화했다. 챗GPT 도입에 따른 보안 인프라 강화를 위해 LG CNS는 자체 생성형 AI 보안 전문 솔루션 '시큐엑스퍼 AI'를 적용했다. 이 솔루션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입력되는 이상 행위를 실시간 탐지, 신한은행 직원과 고객 개인정보가 챗GPT로 넘어가지 않도록 막는다.

김태훈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전무)은 “금융권 차세대 사업에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LG CNS의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