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찾은 외국인 환자 85%는 서울行…지역 의료·관광 인프라 지원 추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외국인 환자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지역 의료·관광 인프라 강화에 나선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지역 외국인 환자 유치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맞춤형 컨설팅 사업에 착수했다. 올해 말까지 지자체별 외국인 환자 유치 환경을 분석하고, 차별화 방안 등 전문가 자문을 제공한다. 서울과 경기, 인천, 대구, 부산 등 9개 광역지자체가 사전에 참여 의향을 나타냈다.

보산진이 지역별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의료기관을 찾은 외국인은 약 117만명으로, 2023년에 약 61만명에 비해 93.2% 증가했다. 외국인 환자는 의료서비스 이용뿐만 아니라 관광지도 찾아 국내 경제에 기여하는 만큼, 복지부는 지원센터 등으로 환자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지난해 지역별 외국인 환자 유치 수(사진=보건복지부)
지난해 지역별 외국인 환자 유치 수(사진=보건복지부)

다만 지난해 외국인 환자 117만명 중 85.4%인 약 100만명이 서울 의료기관을 찾은 점은 숙제로 남았다. 대전, 충남, 전북 등 11개 광역지자체 외국인 환자 유치 수는 7000명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에 위치한 유치등록 의료기관이 전체 63.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영향이 크지만, 의료관광 상품 개발 등이 더해지면 지역 유입을 촉진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보산진은 최근 2년간 외국인 환자 유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가 보유한 의료·관광·산업 인프라와 문화 등을 결합한 차별화 전략을 도출한다. 전문가 자문단은 지역 특화 유치모델·의료관광 상품 개발, 목표 대상 국가와 유치 방안, 해외 홍보·마케팅 전략 등을 제시하며 힘을 보탠다.

복지부와 보산진은 이밖에 외국인 환자 유치 설명회 등을 마련하며 지차체 의료관광 인프라를 알릴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외에도 의료비 지출액 파악, 규제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외국인의 국내 선진의료를 경험하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