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산업 기반 인프라가 될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의 신속한 확보를 위해 클라우드 기업(CSP)을 공모한다. GPU 구축·운용도 맡긴다.

정부는 13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제4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첨단 GPU 1만장 확보를 위한 1조4600억원 규모 추가경정예산 확보에 이어 속도감 있는 예산 집행이 목적이다.
특별위원회는 연내 GPU 지원 착수를 목표로 민관 협력 등을 통해 GPU 구매, 구축, 사용에 이르는 전주기 절차를 거쳐 첨단 GPU 확보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뜻을 모았다.
정부는 첨단·대규모 GPU를 신속히 확보·구축·운용할 수 있는 CSP를 공모·선정하고 GPU 구매 등을 신속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된 CSP 기존 데이터센터 상면 내 확보된 대규모 클러스터링에 기반해 GPU를 순차 구축할 예정이다. <본지 5월 13일자 3면 참조>
향후 국가AI컴퓨팅센터를 중심으로 순차 구축된 GPU를 활용하며 국내 산·학·연과 국가적 프로젝트 지원 등에 전략적으로 배분할 방침이다.
유상임 장관은 “첨단 GPU 확보는 우리나라 AI 생태계 혁신의 시작”이라며 “민·관 협력으로 연내 GPU 확보와 국내 AI 생태계 대상 GPU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신속한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이 대한민국 AI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은 이번 특별위원회 논의 결과 반영 등을 거쳐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종 심의·의결할 계획이다. 이후 GPU 구매·구축 등을 협력할 민간 CSP 공모에 착수한다.
유 장관은 이번주 중 미국을 방문, 엔비디아와 GPU 확보 관련 심도 있는 협력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