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EL-QD·LG 4세대 OLED…SID서 공개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삼성디스플레이 SID 전시부스 전경.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 SID 전시부스 전경.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에서 나란히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공개했다. 삼성은 초미세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QD)만으로 적(R)·녹(G)·청(B)을 구현하는 'EL-QD'를, LG는 RGB를 독립된 층으로 분리해 쌓은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전면에 내세웠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SID 2025에서 지난해보다 밝기와 해상도를 대폭 끌어올린 전계발광 퀀텀닷(EL-QD) 디스플레이를 공개했다.

구체적으로 4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하나 밝기) 고휘도 제품과 264PPI(인치당 픽셀 수) 고해상도 제품을 전시했다.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가 업계 최초로 공개한 자발광 QD 디스플레이(250니트, 202PPI)보다 밝기는 50%, 해상도는 30% 끌어올린 제품들이다.

QD는 수나노 크기 작은 반도체 입자다. 색표현력이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EL-QD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없이 QD로 구성된 R·G·B 픽셀이 전류 구동을 통해 직접 빛을 내는 방식이다. 기존에 삼성디스플레이가 대형 패널로 만들고 있는 QD-OLED는 블루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 발광(PL) 방식이다.

회사 측은 EL-QD 상용화 최대 난제인 청색재료 수명을 개선해 밝기를 높였고, 잉크 특성과 잉크젯 인쇄공정 간 호환성을 높여 픽셀 밀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 디스플레이 기술은 SID로부터 '올해의 우수 논문'에 선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보다 밝기를 50% 개선한 400니트 수준 자발광 QD(EL-QD)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보다 밝기를 50% 개선한 400니트 수준 자발광 QD(EL-QD)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는 RGB 올레도스도 최고 해상도인 5000PPI와 최고 밝기 2만니트를 구현한 제품을 각각 공개했다. 올레도스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유기물을 증착해 픽셀 크기를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구현한 디스플레이다. 초고화질을 구현했기 때문에 확장현실(XR) 헤드셋의 핵심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LG디스플레이 SID 2025 전시부스. 〈사진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SID 2025 전시부스. 〈사진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는 적·녹·청(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구조를 채택한 4세대 OLED를 게이밍 및 TV용 제품으로 공개했다. 특히 4세대 OLED를 게이밍 모니터(27인치)로 처음 선보였다. LG디스플레이는 3세대와 4세대 OLED를 비교 시연해 한층 나아진 휘도와 색 재현율을 실감할 수 있도록 했다.

TV 및 게이밍 모니터용 OLED는 흰 색 광원을 컬러필터를 통해 빛을 내는 화이트(W) OLED 방식이다. 4세대 OLED 패널은 '청색-녹색-청색-적색' 순으로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도록 했다. 기존 3세대가 '청색-황색-청색' 3층 구조였던 것과 비교해 진일보한 것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 기술을 적용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화면 밝기) 40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를 구현했다.

LG디스플레이 45인치 5K2K 게이밍 OLED. 〈사진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45인치 5K2K 게이밍 OLED. 〈사진 LG디스플레이 제공〉

세계 최고 해상도인 5K2K(5120×2160) 게이밍 OLED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45인치 대화면에 약 1100만개 픽셀이 촘촘하게 배열돼 고해상도가 가능해졌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