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AI 기반 시범솔루션 찾는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국토교통부가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첫 인공지능(AI) 기반 시범솔루션 공모에 착수했다. 교통, 안전, 환경 등 각종 도시 데이터를 연계·분석할 수 있는 국가 표준 플랫폼을 통해 지자체 간 공동 활용 가능한 실증 모델을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15일 국토부는 데이터허브를 구축한 광역·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시범솔루션 발굴사업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자체가 자체 기획한 솔루션을 정부가 평가·선정해 연내 실증을 지원한다. 공모 대상은 총 3개 지자체이며, 선정 시 국비 10억원(지방비 1:1 매칭)이 투입된다.

데이터허브는 도시 전반의 디지털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스마트도시 핵심 인프라다. 국토부는 지난 2022년부터 각 지자체에 해당 플랫폼 보급을 추진해왔다. 현재 대부분 광역지자체에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상태다. 교통 혼잡, 범죄 밀집지역, 유동인구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순찰 최적화, 노선 재편, 방역 대응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개념도. (자료=국토부)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개념도. (자료=국토부)

이번 공모는 작년 추진된 스마트도시 서비스 시범사업의 후속이자 확대 모델이다. 기술 적용 대상을 명확히 하고 범용성과 실효성을 함께 추구한 점에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지자체가 각자 지역 수요에 맞춘 해법을 제안하고 중앙정부가 이를 평가해 전국 확산 가능한 모델을 확보하는 구조를 만든다.

이번 사업에서 개발되는 솔루션은 오픈소스 방식으로 전면 공개돼, 타 지자체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공모 일정은 오는 16일 공고 이후 7월 중 최종 선정 지자체를 발표한다. 두 곳 이상이 공동으로 제안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며 실현 가능성과 데이터 융합 수준, 국민 체감형 성과 창출 가능성이 주요 평가 기준이 된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가 단순한 데이터 수집을 넘어 실질적 도시문제 해결 도구로 자리잡을 시점”이라며 “이번 공모가 국민의 삶에 직접 닿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만드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