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우원식 만나 “개헌 통해 협치형 정부 만들어야”

우원식 국회의장(오른쪽)이 19일 국회에서 예방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오른쪽)이 19일 국회에서 예방한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개헌을 통한 협치형 정부를 만들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달라고 요청했다. 우 의장은 “그 과정에서 역할이 있었으면 한다”고 화답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19일 취임 인사차 우 의장을 예방하고 “이번 기회에 국민께서 정말 원하는 개헌, 정치적 유불리나 계산을 따져서 하는 개헌이 아니라 제대로 된 7공(7공화국), 국민이 원하는 협치형 정부를 만드는 개헌에 저희도 많이 노력할 테니, 의장님도 중심을 잡아주시고 이끌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정치의 시간 아니고 헌법의 시간이다. 지금 우리 앞에 필요한 것은 정쟁이 아니고 헌정의 복원”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대법관 등 탄핵 움직임을 비판하며 “입법이 사법위에 올라서는 순간 헌법의 균형 무너진다. 국회는 그런 것들이 대립하는 곳이 아니라 헌정의 중심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우 의장은 “좋은 말씀이시고, 제 지론으로 늘 해온 이야기”라면서도 “(입법부·행정부·사법부는) 세 개가 분리돼 있지만 국민의 삶이라는 하나의 축을 가지고 서로 협력하고 또 다른 역할을 맡고, 잘못하면 비판도 하면서 삼권이 분립되고 서가는 것”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삼권 분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국회에서 정쟁이 발생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우 의장은 “비 온 뒤에 땅이 굳듯이 국민 전체가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잘 고민하고 서로 합의해야 하는데, 이건 굉장히 어려운 과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회적 대화가 잘 이뤄져야 한다”면서 “(김 위원장이) 지금 말씀한 고민의 내용을 다 담아서, 이번 대선 기간에 후보들 사이에서도 많이 논의되지 않겠나. 이게 사회적 합의의 과정일 수도 있고 정당 간의 논의가 있을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길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그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으면 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