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장비 무장 차세대 해양조사선 '이어도2호' 바다로

총톤수 732t…34종 첨단 연구·관측 장비 탑재
1000t 이하 연구선 최초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 탑재
해양과학 발전 및 국가 해양력 강화 중요 연구 기반

20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에서 열린 이어도2호 취항식에서 주요 참석자가 테이프 커팅을 했다.
20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에서 열린 이어도2호 취항식에서 주요 참석자가 테이프 커팅을 했다.

33년간 임무를 수행하고 지난해 말 퇴역한 해양조사선 '이어도호'의 뒤를 이을 '이어도2호'가 바다에 첫발을 내디뎠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원장 이희승)은 20일 경남 거제 KIOST 남해연구소에서 이어도2호 취항식을 열고 우리나라 바다 주권을 지킬 차세대 해양조사선의 출항을 알렸다.

이어도2호는 총톤수 732t, 최대 속도 13.5노트(약 25㎞/h)로 운항성능이 향상됐다. 최대 승선 인원은 승무원 15명, 연구원 17명 총 32명이다.

이어도2호 엔진룸. Azimuth Thruster 시스템 기반 친환경 전기추진선인 이어도2호는 1070㎾ 출력의 엔진 3개를 탑재했다.
이어도2호 엔진룸. Azimuth Thruster 시스템 기반 친환경 전기추진선인 이어도2호는 1070㎾ 출력의 엔진 3개를 탑재했다.

기존 이어도호가 20종 연구 장비를 갖췄다면 이어도2호는 해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총 34종 첨단 연구·관측장비를 탑재했다.

지구 물리·해저 지형 정밀 분석 장비를 비롯해 수중 음향 및 수중 생물 밀도와 분포를 탐지하고 화학·항해 중 실시간으로 수온·염분·깊이를 측정하는 첨단 관측장비, 시료를 극저온 냉동 보관하는 장비 등을 갖췄다.

이어도2호 승조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공간 중 하나인 식당 전경.
이어도2호 승조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공간 중 하나인 식당 전경.

이어도2호는 1000톤 이하 연구선 중 국내 최초로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DP)을 적용해 다양한 기상, 해상 조건에서도 연구선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 안전하고 정밀한 연구가 가능하다.

수평 방향으로 360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전방위 추진기(Azimuth Thruster) 시스템도 탑재해 추진력과 기동성을 확보했다.

이 외에도 '고정식 예인체 수중 위치 측정 시스템'을 탑재해 잠수정, 수중 글라이더, 시료 채취 장비 등 수중과 해저에서 운용하는 장비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해수와 대기 순환 특성을 비롯해 해양기인성 기후 변화를 규명하는 데 한층 정확한 관측 자료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진성일 선장이 조타실에서 이어도2호의 주요 제원과 기능을 설명했다.
진성일 선장이 조타실에서 이어도2호의 주요 제원과 기능을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퇴역한 이어도호는 1992년 3월 취항 이후 33년, 총 6894일간 우리나라 연안과 해외 해역 68만㎞ 거리를 항해하며 해양조사 임무를 수행했다. 해양 순환기후 탐사, 해류 특성조사, 해양방위 작전해역 환경조사 등 다양한 해양조사 연구에 투입돼 우리나라 해양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희승 원장은 “첨단 장비를 탑재한 연구선은 국가 해양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연구 기반”이라며 “운항성능과 연구기능을 대폭 향상한 이어도2호가 우리나라 주변의 해양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측·예측해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거제=노동균 기자 defros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