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7일 배송 문제로 한진과 택배 기사들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양 측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전면 파업 등 파열음이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대리점연합회가 주 7일 배송 시범 운영을 하며 지난 한 달 간 세 차례 실무 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하고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노조는 지난 7일 교섭에서 주 7일 배송과 관련한 요구안을 제시한 상태다. △휴일 배송 불참에 대한 불이익 처우 금지 △휴일 배송 물량에 대한 추가 수수료 100% 지급이 골자다.
한진대리점연합회는 답변을 거부하고 있다. 노조 요구안이 과도하다는 이유에서다. 올해부터 주 7일 배송 체제로 전환한 CJ대한통운의 경우 추가 수수료 50%를 지급하고 있다. 경쟁사 대비 두 배에 달하는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노조는 한 발도 물러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진의 주말 물량이 CJ대한통운 대비 많지 않은 만큼 수수료 직접 비교는 의미가 없다는 입장이다. 또 한진이 충분한 논의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주 7일 배송을 추진한 만큼 불참할 권리도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CJ대한통운의 경우 주 7일 배송 시행 4개월 전에 '주 5일 근무제' 도입을 내걸고 협상에 임한 바 있다.
일부 기사들은 이미 주 7일 배송 보이콧에 돌입한 상태다. 민주노총 택배노조 소속 기사들은 휴일 배송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전체 한진 기사 중 10% 안팎 수준이다. 이들은 지난 14일부터 △반품 △사진 전송 △도착 예정 시간 입력 등도 거부하고 있다.
향후 투쟁 수위도 높일 계획이다. 11번가, 다이소, C커머스 등 전략 화주사 물량 배송을 거부하는 것은 물론 전면 파업도 고려하고 있다. 조합원들이 전부 보이콧을 이어간다면 안정적인 주 7일 배송 전환은 어렵다는 관측이다.
택배노조 관계자는 “한진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만한 대안을 제시해주면 좋은데 아예 답변을 거부하고 있다”며 “상황에 따라 수위를 높이는 부분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진이 향후 기사들과 합의점을 도출해낼 지 이목이 쏠린다. 택배업계 양강 쿠팡과 CJ대한통운이 나란히 주 7일 배송 체제를 가동하면서 '매일 배송' 체계는 업계 표준이 됐다. 전략 화주사 물량을 지켜야 하는 한진에게 주 7일 배송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한편 한진 관계자는 “휴일 배송 시범 운영을 위해 대리점, 택배기사와 충분한 소통을 거쳤고 적극적 동참에 의해 현재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휴일 배송 시범 운영 기간 중 있을 수 있는 개선 사항은 향후 서비스 본격화 시 개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민경하 기자 maxk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