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전력난맥 풀린다···73조 규모 전력공급 설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의 10GW 전력공급을 위한 변전소 신설 등 설비계획이 수립됐다. 72.8조원이 투입되는 프로젝트로 반도체 업계 숙원이었던 전력공급 문제 해소와 함께, 생산유발 약 134조원, 고용유발 약 48만명의 효과가 기대된다.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제11차 장기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통상자원부 제312차 전기위원회에서 확정됐다고 27일 밝혔다.

11차 설비 계획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등 첨단전략산업 전력공급과 변화하는 전력수급 상황에 차질 없이 대응하기 위함이다. 지난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11차 전기본)'의 전력수요와 발전설비 전망을 바탕으로 2024~2038년 15년간 적용되는 송·변전설비 세부계획이기도 하다.

계획에 따르면 호남-수도권 초고압 직류 송전(HVDC)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계통을 재구성하고,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전력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 인프라를 확충한다. 호남-수도권 HVDC는 현재의 전압형 HVDC 기술 수준(단위 최대용량 2GW), 변환소 부지확보 및 배후계통 보강여건 등을 고려하여 기존 4GW급 2개 루트('36년 준공)를 2GW급 4개 루트('31, '36, '38년 단계별 준공)로 변경했다.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필요한 10GW 이상 대규모 전력을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산단 내 변전소 신설, 기존 전력망과의 연계 등의 설비계획도 포함됐다. 또한, 기존에 추진 중인 하남시와 당진시의 전력망 구축 사업도 건설지연 및 계통여건 변경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준공 시기를 조정했다.

한편 이번 계획에서는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플라이휠 동기조상기' 및 '에너지 저장 장치와 무효전력 보상장치 통합설비'(ESS-STATCOM ESS-STATCOM) 등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신기술 설비도 도입한다.

한전은 이번 설비계획에 2038년까지 72.8조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이번 설비계획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생산 파급 약 134조원, 고용 유발은 약 48만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한전 관계자는 “지난 2월 제정된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건설사업 추진 동력을 높이고, 주민친화형 변전소 확대와 중립적 전자파 관리체계 구축으로 전력설비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여 적기에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조정형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