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독립”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 공장 완공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 공장에서 직원이 제조 공정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 공장에서 직원이 제조 공정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이 전남 광양에 양극재 핵심 원재료인 전구체 공장을 완공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존 전구체 공급망 구조에서 탈피, 배터리 소재 국산화율을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포스코퓨처엠은 10일 광양 율촌산업단지에서 전구체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전구체 공장은 광양 양극재 생산 라인 내 총 2만2400㎡(약 6800평) 부지에 조성돼 연간 4만5000톤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이는 전기차 50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분량이다. 지난달부터 양산이 시작된 전구체는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 모터스(GM) 합작법인(JV) 얼티엄셀즈로 전량 공급된다.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준공식 기념사에서 “포스코 그룹 차원 니켈 공급망 구축에 이어 '원료-반제품-양극재'에 이르는 자급 체제를 완성했다”며 “광양 전구체 공장은 글로벌 공급망 정책 변동 속에서 국내 배터리 산업 경쟁력 강화와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이 광양 전구체 공장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이 광양 전구체 공장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퓨처엠)

전구체는 완제품 구조가 되기 전 물질을 통칭하는 용어인데, 배터리 산업에서는 양극재 이전 단계를 의미한다. 니켈·코발트·망간으로 구성되는 전구체와 리튬이 결합하면 양극재가 된다. 전구체는 양극재 원가의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성이 높다.

그러나 국내 배터리 업계는 전구체 대다수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국내 전구체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90% 이상이다. 국내 기업 중 전구체를 생산 중인 기업은 에코프로머티리얼즈와 에코앤드림 정도다.

반면 전구체 공급망 독립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올해부터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배터리에 중국산 전구체를 탑재하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해외우려기업(FEOC) 규정이 적용,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금지외국법인 요건이 신설되는 등 중국 공급망 규제는 강화되는 추세다.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재·전구체 공장 배치도. (이미지=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재·전구체 공장 배치도. (이미지=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은 전구체 자체 조달을 통해 공급망을 안정화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회사는 광양 공장에서 생산하는 전구체가 IRA 요건을 100% 충족, 미국 수출에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소영 포스코퓨처엠 에너지소재기획그룹장은 “전구체 자립을 추진하게 된 건 공급망 편중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고객사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광양에서 고객사가 요구하는 물량만큼 전구체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배터리 제조사의 '탈(脫) 중국'이 가능해졌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향후 고객사에서 전구체 물량을 추가로 요구할 경우 캐나다에서 대응할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은 GM 합작 양극재 생산법인 얼티엄캠 공장을 캐나다 퀘벡에 건설 중인데, 이곳에 전구체 생산 라인을 구축할 방침이다. 광양 공장에 유휴 부지가 있어 전구체 증설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한동수 포스코퓨처엠 광양양극소재실장은 “전구체 생산 과정은 용해부터 포장까지 6개 공정 간 흐름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게 관건”이라며 “수율을 빠른 시간 내에 안정화해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광양(전남)=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양극재 공장 개요 - (자료=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양극재 공장 개요 - (자료=포스코퓨처엠)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