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전문대교협, “직업교육법 제정 필요…안정적인 지원·제도 구축해 현장맞춤 인력 양성할 수 있어야”

10일 국회에서 열린 전문대교협 '직업교육 정책포럼'에서 김영도 전문대교협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이지희 기자)
10일 국회에서 열린 전문대교협 '직업교육 정책포럼'에서 김영도 전문대교협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이지희 기자)

초고령사회, 디지털 대전환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노동시장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직업 교육을 포함한 교육의 변화와 재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는 10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직업교육 정책포럼'을 개최하고 직업교육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을 짚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포럼에는 전문대학 관계자를 포함해 직업교육 전문가들이 모여 직업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필요한 제도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전문대학의 위기에 공감하면서 일반대와 차별화 된 전문대학의 역할 재정립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기조발제자로 나선 성낙인 전 서울대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모습으로 사회를 지배하면서 이에 부응하기 위한 전문대학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 전 총장은 전문대학의 혁신 방향으로 △중소기업 연계형 해외 기술인재 육성 △지역특화분야 지역앵커대학 집중 육성 △지역전략산업·지역대학 클러스터 집중 조성 등 3가지를 꼽았다. 다만 전문대학 현안은 인구절벽으로 인한 지역소멸과 대학 존폐 여부에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성 전 총장은 “전문대학이라는 특성에 맞게 특화 영역을 개척해 전문성을 확보하고, 지역 기업과 연계해 지역기업과 인재의 수도권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며 “전문대학도 한국폴리텍대학이 구현하는 전문기술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성화 해야 한다”고 밝혔다.

[에듀플러스]전문대교협, “직업교육법 제정 필요…안정적인 지원·제도 구축해 현장맞춤 인력 양성할 수 있어야”

전문대교협 대선 아젠다 TF 위원장인 송승호 충청대 총장은 전문대학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직업교육 국가책임제를 강조했다. 수도권 집중, 일반대의 백화점식 학과 개설 등으로 전문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지속적인 고등교육예산 지원과 '직업교육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송 총장은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고등교육재정지원 확충 방안이 절실하다”면서 “이런 지원을 통해 전문대학은 고숙련 현장맞춤형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동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직능연) 선임연구위원은 직업교육을 통한 현행법상으로는 안전한 직업교육권, 공정한 대우 등을 현실적으로 보장받기에 어렵다고 조명하면서 헌법상 개인 기본권의 일환으로 직업교육권의 법정 보장을 제안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직능연이 2022년 실시한 직업교육법 제정 설문조사에서 제정에 동의하는 의견이 94%였다”며 “직업교육이 당면한 단절과 소외 현상의 해소를 위해 직업교육 기본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영도 전문대교협 회장은 “한국은 여전히 직업교육이 고등학교와 전문대학 중심의 청년 대상에만 국한돼 있다”며 “직업교육기본법 제정을 통한 제도적 기반 강화, 전문대학·폴리텍·산업체가 연계된 산학일체형 전환 교육·훈련 모델 등 통합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