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7월 8일을 시한으로 제시한 각국과의 상호관세 및 무역협상 기한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성실하게 협상한 국가'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협상 시한을 한달여 앞두고 정권 교체가 이뤄진 우리나라도 향후 대미 무역협상 향방에 귀추가 주목된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1일(현지시간) 하원 세입위원회 청문회에서 “성실하게 협상하고 있는 국가에 대해서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지난 4월 상호관세를 전격 발효한 뒤, 각국과의 협상을 위해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상태다. 우리나라도 오는 7월 8일까지 협상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25% 상호관세는 유예된 상태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장할 용의는 있지만, 우리가 그럴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언급하면서 “약 15개국과 협상 중이며, 1주 반에서 2주 안에 각국에 계약 조건을 담은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며 “받아들일 수도, 거부할 수도 있는 조건을 통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그의 협상 스타일상 상대국에 대한 압박 카드로 해석된다. 협상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상대국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제스처'라는 뜻이다. 실제 '성실한 협상국'에 한해서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이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조건 서한'의 실제 발송 여부도 불투명하다는 게 현지 언론 분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은 종종 2주 시한을 언급하지만, 실제로 지켜진 적은 드물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12일 취임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대미 협상 전면에 나선다. 여 본부장은 이날 취임식에서 “한미 간 통상장관급 셔틀 협상을 본격화하겠다. 대미 협상 태스크포스(TF)를 확대 개편하고 실무 대표도 국장급에서 1급으로 격상하겠다”고 말했다.
미국에게 한국이 필요한 나라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여 본부장은 “대한민국이 미국을 필요로 하는 만큼, 미국도 대한민국을 필요로 한다. 상호호혜적인 파트너십을 만들기 위해 당당하게 협상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미국 측 발언과 관세 서한 발송 여부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협상 조건과 대응 시나리오를 준비 중”이라며 “실무 협의와 장관급 셔틀 외교를 병행해 우리 기업의 통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 본부장은 취임에 앞서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인터뷰에서 “자동차를 연간 100만대 이상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과 일본은 공동으로 관세 예외를 요구해야 한다”며 일본과의 공동 대응을 예고했다. 또 자동차뿐 아니라 조선·LNG 분야 협력, 중국 철강 공급 과잉 문제에서도 양국 간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