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6호 발사 내년 1분기로 연기…자력 발사 능력 빠른 확보 필요

다목적실용위성 6호.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목적실용위성 6호.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리나라 다목적실용위성 6호(아리랑 6호) 발사가 또다시 연기됐다. 아리랑 6호를 탑재할 해외 발사체 발사 일정으로 인해 연기됐지만, 업계는 해외 발사체 의존에 따른 발사 연기 반복이라는 점에서 자력 발사 체계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16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우주항공청 등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발사 예정인 아리랑 6호의 발사가 내년 1분기로 연기됐다.

발사 연기는 아리랑 6호를 탑재할 유럽 민간 발사체 기업 아리안스페이스의 로켓 '베가C' 일정 조정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베가C에는 아리랑 6호와 함께 이탈리아 우주청의 위성 '플라티노-1'이 함께 탑재될 예정이었으나, 플라티노-1의 개발 지연으로 연기된 것이다.

아리랑 6호는 총사업비 3700억원 규모의 전천후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이다. 고해상도 영상레이더를 사용해 분해능 0.5m 수준 관측이 가능하며, 기상이변 관측 및 국가 안보 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개발 이후 러시아의 앙가라 로켓을 이용해 발사될 예정이었지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발사가 연기됐다. 이후 정부는 아리안스페이스와 발사 계약을 다시 체결했으나, 베가C 결함 문제로 2023년과 지난해 각각 발사가 연기된 바 있다.

이처럼 외부 요인으로 인한 아리랑 6호 연기가 반복되면서 항공우주업계는 지나치게 높은 해외 발사체 의존도를 문제로 지적한다.

이번 아리랑 6호를 비롯해 아리랑 7호. 차세대중형위성 2호 또한 해외 발사체를 이용할 예정이지만, 발사 일정 연기 통보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발사 연기가 반복될 경우 개발이 완료된 위성을 유지관리하고 보관하기 위한 비용과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 아리랑 6호와 같이 계약 해지 및 대체 계약 체결 과정에서도 경우에 따라 추가 발사 비용이 요구되는 사례도 나온다.

이 때문에 업계는 정부가 자력 발사 수행 능력 마련에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내 민간 발사시장은 소형 발사체가 주력이며, 대형 위성 탑재 등을 위한 차세대발사체 또한 운용까지 상당 기간이 남은 상황”이라며 “중대형발사체인 누리호의 추가적인 반복 발사를 통해 대형 위성 발사 계획을 자력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빠르게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