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10곳 중 7곳은 디지털 대전환을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총장들의 최대 관심사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 사업이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25년 하계대학총장세미나를 앞두고 대학 총장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설문은 192개 회원 대학 총장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148개교 총장이 응답했다.
총장들은 대학의 디지털 대전환과 관련해 73.6%가 적절히, 혹은 일부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응 정도는 국공립대(81.3%)가 사립대(71.6%)보다, 대규모 대학(94.9%)이 중규모(77.1%)나 소규모(57.4%)보다 높게 조사됐다.
대응 분야로는 '대응 전략 수집'이 64.2%로 가장 많았다. 학교 정책 적용 채택(59.6%), AI 관련 전담 조직(TF) 구축(28.4%) 순이었다.
대응이 미흡하거나 하지 않고 있다고 답한 경우 79.5%가 '재정 및 투자 여력 부족'을 이유로 꼽았다.
생성형 AI를 포함한 AI 활용 현황은 '생성형 AI 관련 수업 개설'과 '챗봇'이 각 48.0%로 가장 많았다. 디지털 대전환에 대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디지털 인프라와 플랫폼 구축'이 1위였다.
총장들의 관심 영역 1위는 '재정 지원 사업'이 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교육'(60.8%), '신입생 모집 및 충원'(51.4%) 등이 뒤를 이었다.
고등교육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 정부에 바라는 정책 건의로는 자율성·규제 부문에선 '대학 운영(학사·입학·정원·교원·회계운영 등) 자율성 확대'를, 재정 지원 부문에선 '법에 기반한 고등교육 정부 투자 확대'를 꼽았다.
양오봉 대교협 회장은 “국가경쟁력 제고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율성 확대와 안정적 재정을 기반으로 한 혁신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격변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의 전략적 투자와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