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천문연 사천 이전 움직임에 과기계 반발…“우주청 기능 강화 방안 먼저 고민해야”

우주항공청 〈전자신문DB〉
우주항공청 〈전자신문DB〉

과학기술계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의 경남 사천 이전 움직임에 대해 즉각 반발에 나섰다. 정치적 논리나 지역 이기주의를 배제하고 우주항공청 기능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우선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과학기술계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의 경남 사천 이전 움직임에 대해 즉각 반발에 나섰다.

전국과학기술연구전문노동조합은 18일 성명서를 통해 “국가 우주항공 산업 발전을 가로막고 연구현장을 파괴하는 우주항공청 특별법 개정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국민의힘 서천호(경남 사천·남해·하동) 의원은 항우연과 천문연을 사천 우주항공청 인근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대해 과기노조는 “우주청 설립 당시 항우연과 천문연을 포함한 연구현장과 많은 논의를 거쳐 임무와 역할 관계를 조정하고, 정주 여건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설립법이 마련됐다”며 “이러한 취지와 과정을 무시하고 정치적 논리로 연구기관 이전을 밀어붙이는 것은 국민과 연구현장 신뢰를 정면으로 배반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과기노조 항우연지부 또한 전날 성명서를 통해 개정안 즉각 폐기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과기계는 우주청 기능 강화를 위해 우주항공처 승격과 입지 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현재 사천이라는 우주청 입지가 경쟁력 약화 및 업무 효율 저하로 이어진다는 이유에서다.

항우연 노조 측은 “우주청을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도 문제지만 그보다 심각한 것은 전문가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우수한 우주 전문가들과 정책전문가들이 많이 지원할 수 없는 지역에 위치한 탓에 많은 분야에서 엇박자가 일어나고 있고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우주국방, 우주외교를 관할할 수 있는 통합 우주부처인 우주항공처로 승격과 함께 우주항공 R&D 기능이 집적된 대전 인근의 세종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과기노조 또한 항우연과 천문연의 현재 연구시설과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우수 연구인력 이탈을 방지하고 R&D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기노조는 “우주항공청에 연구의 지원과 정책을 “연구자 중심과 연구성과 중심으로 추진할 수 있는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가 대전에 신설돼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