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 제조혁신 방안 모색” 산기협, Korea Industrial AI 공동포럼 개최

24일 열린 2025 Korea Industrial AI 공동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산기협 제공)
24일 열린 2025 Korea Industrial AI 공동포럼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산기협 제공)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는 24일 서울 용산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AI+산업혁신 : AI 기반의 스마트 제조와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2025 Korea Industrial AI 공동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인공지능(AI) 기술 산업 적용과 국내 AI 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포럼으로, 3회째를 맞이했다.

산기협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S일렉트릭, LG AI연구원, SK텔레콤이 공동 주최했다.

포럼에는 구자균 산기협 회장을 비롯해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안현실 UNIST 연구부총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제조 AI를 통한 K-Factory 확산으로 제조업 위기 돌파'를 주제로 기조강연에 나선 정대화 LG전자 사장은 “점점 심화되고 있는 중국발 국내 제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조 AX를 기반으로 국내 마더팩토리를 고생산성 스마트팩토리로 전환하는 'K-Factory' 구축이 중요하며, 이를 해외 생산지로 확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LG전자 생산기술원은 특히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첫 번째 세션에서는 '글로벌 AI 트렌드 및 인사이트'를 주제로 조동연 SKT 담당과 박세종 지멘스 상무가 발표를 진행했다.

두 번째 세션은 'Industrial AI 활용사례'를 주제로, 윤종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조AI연구센터장의 '자율제조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사례 중심으로 보는 현재와 미래', 양승준 UNIST 교수의 'UNIST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동남권 제조 산업 혁신 사례' 하형철 LS일렉트릭 이사의 'AI 기반의 자율 공장 구축 여정' 등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AI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구자균 회장은 “AI가 새로운 성장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기술 격차를 극복하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며 “산기협도 산업계의 실질적인 수요에 기반한 AI 협력 생태계 조성과 기술 정보 제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