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밤바다'의 몰락… 유명 관광지 식당의 불친절이 불러온 파장

사진= 불친절 논란이 된 여수 식당의 사과문
사진= 불친절 논란이 된 여수 식당의 사과문

한때 낭만과 감성의 대명사였던 관광도시 여수에 위기가 찾아왔다.

최근 한 유튜브엔 손님에게 고압적인 태도로 응대하며 손님을 홀대하는 여수 식당 직원의 영상이 공개돼 파장을 일으켰다. 이는 SNS를 중심으로 여수 지역 식당의 불친절한 응대 사례가 급속히 확산되며, 지역 관광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해당 게시물은 수십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후기까지 이어지며 ‘여수 불친절’ 키워드는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이러한 사례가 잇따르자 여수 지역의 숙박업소와 여행사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일부 숙소에서는 “갑작스럽게 예약 취소 문의가 늘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특히 재방문율이 높은 가족 단위 여행객이나 혼행(혼자 여행) 여행자들이 여수를 기피하게 되는 상황은 관광 수익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사진= 유튜브 채널 꾸준 kkujun 화면 캡처
사진= 유튜브 채널 꾸준 kkujun 화면 캡처

이번 논란은 과거 제주도에서 벌어졌던 '비계 삼겹살' 사건과 최근 울릉도의 '바가지 요금' 논란을 떠올리게 한다. 당시 제주도에서는 일부 식당이 지방이 과도하게 많은 삼겹살을 고가에 판매해 논란이 되었고, 관광객들 사이에서는 '바가지 요금'과 '관광지의 질 낮은 응대'에 대한 불만이 확산되었다. 울릉도에서도 1인분에 수만 원을 호가하는 음식 가격, 숙박비 과다 청구 등이 문제가 되며 전국적인 비판을 받았다. 이들 사례는 모두 지역 관광 신뢰도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혔고, 이후 한동안 해당 지역에 대한 여행 수요가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여수시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주요 식당 및 관광업소를 대상으로 ‘친절 캠페인’을 재가동 중이다. 관광과 관계자는 “몇몇 사례가 전체 이미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조치 중”이라며 “서비스 교육과 민관 협력을 통해 신뢰 회복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여수는 오동도, 향일암, 낭만포차 거리 등 해양 관광 자원을 중심으로 연간 1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대표적 관광도시다. 하지만 ‘맛집 중심 여행’에서 ‘경험 중심 여행’으로 트렌드가 전환됨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환대 문화가 지역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여수시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식당 및 관광업소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 교육과 함께 민간 주도의 ‘여행자 환대 실천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때 전국 여행자의 로망이었던 ‘여수 밤바다’가 다시 빛을 되찾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여행자를 향한 태도의 변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불친절은 단지 개인의 태도 문제가 아니라 지역 브랜드의 신뢰 문제다. 한순간의 불쾌한 경험이 도시 전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박병창 기자 (park_li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