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진의 적절한 처방과 관리 없이 사용되는 사례들과 비만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대상에게까지 투여되는 부적절한 사용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대한비만학회가 2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개최한 'GLP-1 비만치료제의 오남용 실태와 안전성 우려' 심포지엄에서 의료계와 정부, 언론계 전문가들이 부적절한 처방과 오남용을 막기 위한 교육 및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허양임 대한비만학회 언론홍보이사는 “의약품의 안전성 정보는 전문지식에 기반한 검증된 해석을 통해 제공돼야 하며, 과도한 부작용 우려는 실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접근성을 제한할 수 있어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전문의약품은 의학적 효과와 부작용이 공존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전문적 판단 하에 처방 및 관리되어야 한다”라며 “GLP-1 비만 치료제도 충분한 병력 청취 및 검사를 통해 정확한 적응증 확인 후 처방되고, 치료 시작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정환 대한비만학회 정책이사는 “GLP-1 비만치료제는 2021년 미국 출시 후 비만 유병률 감소에 기여할 만큼 치료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됐으나, 여전히 낮은 질병 인식과 제도 미비로 부작용 논란과 오남용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정책이사는 GLP-1 비만치료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해법으로 △비만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현황 조사,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우리나라 비만 기준에 맞춘 GLP-1 비만치료제 사용에 대한 연구 △비만치료 급여화를 통한 치료제 적정사용 유도 및 모니터링 체계 강화 등을 제시했다.
김영림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의약품품질관리과 연구관은 “국내 GLP-1 비만치료제 출시 후 현재까지 보고된 이상반응은 제품설명서 내 기술된 국제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수준과 유사하다”라며 “비만치료제 안전사용을 위하여 온라인 불법판매, 광고행위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광고 현장점검 및 의료인과 환자에게 정확한 의약품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보제공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길원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 회장은 “GLP-1 비만치료제의 올바른 사용과 오처방, 오남용 방지를 위해서는 정부와 의료계, 언론이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야 한다”며 “언론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객관적 정보 제공으로 국민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