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산책]기술사업화, 기술과 시장 그리고 BM 3박자 필요하다

기술사업화 산실로 불리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SRI(Stanford Research Institute)에서조차 대중적인 기술사업화 성과를 꼽으라고 하면 애플 인공지능 음성서비스 시리(Siri)와 다빈치 수술용 로봇 둘 정도다. 물론 이 두 가지가 가져온 산업적 영향력과 부가가치는 어마어마하지만 실리콘밸리 중심축인 그곳에서도 기술사업화는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처럼 하나의 기술이 개발돼 기업으로 이전되고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로 시장에 선보이기까지는 무수히 많은 난관이 존재한다.

[과학산책]기술사업화, 기술과 시장 그리고 BM 3박자 필요하다

연구기획부터 기술개발과 성과활용에 이르는 연구개발(R&D)의 가장 긍정적인 순환주기를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연구기획단계에서부터 사업화가 유망한 기술 분야를 도출하고 그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연구개발을 진행, 기술개발에 성공한다. 기업은 이렇게 개발된 유망기술을 이전 받아 유망한 사업모델을 구상하고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해 시장에 출시한다. 소비자는 새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치를 최대한 즐기며 생활한다. 정책입안자는 소비자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연구개발 성과평가에 반영하고 새로운 기술개발정책을 수립한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의 순환시스템 고리가 모두 연결된 사례는 많지 않고, 몇 개 고리는 단절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현실 속 연구자는 기술사업화 관점보다는 개발하고 있는 기술 자체의 우수성, 첨단성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있다. 소규모 기업 대부분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을 핀셋처럼 꼭 집어낼 능력이 없는 때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기술 활용 주기에서 또 하나의 난관은 바로 개발된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 기술을 가지고 어떤 비즈니스모델(BM)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전문가적인 시각이 없는 것이다.

연구자가 생각하는 유망기술과 이를 이용하는 기업이 생각하는 유망기술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도 문제다. 시각차로 인해 유망기술이 유망사업으로 이어지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서로의 요구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탓이다. 유망기술이란 이 기술로 인해 생산된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성을 가지고 있는지, 생산에 필요한 기술력은 충분한지, 기업이 경쟁상황이나 투입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 등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망기술 판단도, 유망기술이 유망사업 아이템인지 아닌지 판단도 모두 단순한 산술적 계산이나 기계적인 툴 사용만으로는 나오지 않는다.

여기에 필요한 것이 바로 BM이다. 이를 위해 우선 제안된 기술이 소비자에게 궁극적으로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정의해야 한다.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치가 존재한다면 이 기술은 비즈니스로 발전이 가능할 것이며 이후에는 그 가치를 구현할 방법과 기업에 어느 정도 수익을 줄 수 있는 것인지를 생각해서 사업화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즉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가치를, 기업에는 새로운 수익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효과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해서는 사업화 가능한 훌륭한 BM을 수립해야 한다. 이는 BM에 적용할 수 있는 유망기술 발굴에서 시작된다. 유망기술 발굴은 엑셀파일 돌리듯 자동적인 프로그램으로 걸러지는 것이 아니다. 기술을 이해하고 사업화 마인드를 갖춘 전문가가 투입돼 기술 하나하나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기초·원천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R&D 사업을 추진하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매년 3000건 이상의 새로운 연구성과를 배출한다. 이들 연구성과의 시장성과 기술성을 분석해 유망 기술을 발굴하고 이 기술의 수요기업을 찾아내 기술이전을 하거나 창업을 유도하는 일은 보다 체계적이고 고도화된 방법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술과 사업과 시장을 동시에 볼 줄 아는 진정한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 전 방위적 시각으로 시장이 요구하는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BM을 구축함으로써 기술에 가치와 쓰임새를 부여하는 일이 그들의 몫이다.

강훈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장 hkang@comp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