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바라며

최근 광주시는 '광주형 일자리' 첫 사업인 완성차 합작법인 투자 규모를 당초 7000억원 수준에서 5754억원으로 1255억원 축소 조정한다고 밝혔다. 1대 주주인 광주시 투자 금액은 590억원에서 483억원, 2대 주주인 현대차는 530억원에서 437억원으로 각각 줄지만 고용 인원 최대 1만2000명, 연간 생산 능력 10만대는 그대로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합작법인 투자 유치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이 투자 수익성 제고와 효율성 극대화를 고려해서 내린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으로 시의 합작법인 자기자본금은 2800억원에서 2300억원, 차입금은 4200억원에서 3454억원으로 각각 감소된다. 시의 재정과 은행 등 차입금에 따른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이라 할 수 있다. 자칫 완성차공장 설립 초기부터 경영 악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6월 말까지 투자자를 모집하고 법인을 설립하고 올 하반기부터 경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공장 착공에 들어간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문제는 갑작스러운 투자 규모 축소 발표가 자칫 '광주형 일자리'를 둘러싼 일각의 '우려'를 다시 증폭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이다. 전체 투자비가 18% 이상 줄어든 마당에 초창기부터 줄곧 제기된 사업 계획이 너무 부실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다시 나올 수 있다.

여전히 자동차 업계는 국내 경차 수요가 2012년 이후 급감해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라며 '광주형 일자리'에 불안한 시각을 거두지 않고 있다. 임금 하향평준화를 초래한다며 '나쁜 일자리'로 매도하고 있는 민주노총의 반발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사회 대통합형 노사 상생 일자리 모델이다. 정부는 '고비용 저효율'형 한국 제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다며 '노사상생형 지역 일자리 창출'이라는 이름으로 전국 보급에 나서고 있다. 새로운 도전인 만큼 시행착오는 당연한 일이다. 앞으로도 만만치 않은 장애가 도사리고 있을 것이다. 이럴수록 시는 창업가의 굳은 의지와 절박함, 간절함으로 문제를 풀어 가야 할 것이다. 경영과 생산, 노무 업무 등 창업에서 실패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더욱 꼼꼼하고 세심하게 따져 봤으면 한다. 그래야만 '광주형 일자리'가 '광주'를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는 데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