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암호화폐 광풍' 수그러든 거래소, 실적 둔화…특금법으로 돌파구 찾을까

[이슈분석]'암호화폐 광풍' 수그러든 거래소, 실적 둔화…특금법으로 돌파구 찾을까
[이슈분석]'암호화폐 광풍' 수그러든 거래소, 실적 둔화…특금법으로 돌파구 찾을까

암호화폐 열풍이 꺼지면서 암호화폐거래소 업황은 녹록찮다. 국내 최대 거래소 운영사 실적에서도 어려움이 드러난다. 제도권 편입이 장기 관점에서 경영 불안정성 해소, 매출 증가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의 지난해 실적은 전년 대비 큰 폭 하락했다. 지난해 매출은 1402억5145만원, 당기순이익은 94억5627만원이었다. 2018년에는 매출 4795억8679만원, 당기순이익 1375억4083만원이었다. 2018년 실적에서 괄목할 수익률을 보였다.

2018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두나무는 흑자 경영했다. 하지만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이 동반 하락했다. 두 가지 지표 모두 크게 둔화했다.

암호화폐거래소 빗썸을 운영하는 빗썸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1447억4040만원, 당기순이익 130억9194만원을 기록했다. 두나무와 마찬가지로 전년 실적과 비교하면 크게 둔화된 수치다. 빗썸코리아는 2018년 매출 3916억6967만원, 당기순손실 2054억9000만원을 올렸다. 매출이 50% 이상 떨어졌지만, 2018년 큰 폭의 당기순이익을 흑자로 전환한 것은 성과다.

양사 실적이 국내 양대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 실적을 오롯이 담았다고는 보기 어렵다. 다른 계열사 실적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래소 실적 비중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지난해 암호화폐 업황 부진이 반영됐음을 알 수 있다.

또 2018년 실적에는 암호화폐 열풍 영향이 미쳤다. 2018년 암호화폐 거래량 급등 현상이 기저효과로 작용했다. 지난해 실적 둔화가 두드러진 이유다. 암호화폐 붐 당시 거래소를 통한 거래량이 급등했다. 거래소 수익은 '거래 수수료'에서 발생한다. 거래량이 많았기 때문에, 거래소 실적도 덩달아 성장했다.

올해 제도권 편입으로 암호화폐는 자산으로 인정받게 됐다. 제도권 편입은 거래소 경영 안정성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당장은 거래소 운영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 금융당국 라이선스 요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는 규제 불확실성 해소가 더 큰 호재다. 암호화폐 양성화로 금융시장에서 암호화폐를 바라보는 시각도 한층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