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혁신을 묻다]<1>이상민 "과기계 발전 막는 칸막이 문화 해소에 기여할 것"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대전 유성을 국회의원 당선자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대전 유성을 국회의원 당선자

앞으로 4년 간 입법부를 이끌 21대 국회의원 당선인 300명이 확정됐다. 여당의 압승 속에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20대 국회에서 벌어진 정쟁이 21대에서도 되풀이된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규제개혁과 경제활성화 입법이 시급하다. 21대 총선 당선인에게 국회, 나아가 대한민국 혁신의 길을 묻는 이유다.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부처 간, 민관 사이의 칸막이 문화를 해소하는데 모든 역량을 쏟겠습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대전 유성을 국회의원 당선자는 “개방과 공유, 협업을 통해 엄청난 시너지를 낼 수 있지만 관성과 통념, 이해관계 때문에 연구가 가로막힌 경우를 많이 봤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선자는 이번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5선 의원이 됐다. 21대 당선인 중 5선은 전체 통틀어 13명, 민주당에서는 8명이다. 현재 최다선은 6선(민주당 박병석)이다. 당선 횟수를 뜻하는 '선수'는 국회의원 사이에선 예우를 정하는 순서이기도 하다. 그만큼 의미 있는 숫자다.

이 당선자는 대덕연구단지가 있는 대전 유성에서만 내리 5선을 달성했다. 지역구 현안에 귀기울이다보니 자연스럽게 과학기술계를 대변하는 국회의원으로 자리 잡았다.

부처별,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사이 칸막이가 과학기술 혁신을 저해했다고 보고 협업을 위한 장을 만든다는 게 그의 구상이다.

이 당선자는 “초융합 시대에 홀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이종 간 융합을 통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서비스가 소비자 호응을 얻을 수 있고, 개방과 공유가 이뤄지면 협업은 자연스럽게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21대 국회에서 과학기술 전분야에 걸쳐 폭넓은 교류를 시도할 계획이다. 정부부처 입안자 생각만으로는 연구 현장에 효율적인 정책이 안착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일부 연구자에게 맡겨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 당선자는 '5선 중진'라는 옷의 무게에 얽매이지 않을 생각이다. 원로·중견 뿐 아니라 신진 연구자까지 직접 만나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과 수행을 돕겠다고 했다.

여당 내 과학기술 관련 특별위원회를 실효적 조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전문적 논의의 장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당선자는 “5선 의원이 된 것은 지역구민 유성구민의 지지와 함께 과학·정보통신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과의 인연도 있다”며 “앞으로 그분들과 더욱 밀접하게 소통하고, 애로사항 등을 어떻게 정책에 담아낼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년 환원 및 우수연구원 비율 대폭 확대 △임금피크제 폐지 △연구목적기관 특수성 반영 관련법 국회 통과 △연구자 행정부담 경감을 위한 전담인력 대폭 확충 △주52시간 근무제 연구형태별 적용 등 선거 공약을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들었다.

이 당선자는 21대 국회에서 과학기술계가 홀대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문·이과 출신을 구분하는 것이 통용되지 않는 초융합 시대”라면서 “무엇보다 과학기술 어젠다를 얼마나 실행력 있게 이끌어 가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개혁 의지도 내비쳤다. 정치가 불신과 혐오의 대상이 됐기 때문이다. 협치는 실종되고 진영의 극한 대립만 지속돼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쓴 20대 국회 구성원 중 한 사람으로서 반성한다는 것이다.

이 당선인은 “유권자들로부터 '정치권이 정말 갈 때까지 갔다'는 비판을 많이 들었다”면서 “21대 국회가 유권자들의 지지에 부응하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치개혁은 필수”라고 말했다.

정치 불신은 국회에 너무 많은 권력과 권한이 집중됐기 때문이라는 판단이다. 그는 “오랫동안 분권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고, 작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권형 개헌만이 답”이라면서 “5선 의원으로서 이를 실천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충청=강우성기자 kws924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