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구 박사의 4차 산업혁명 따라잡기]<42> 인력 정책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단장, 4차 산업혁명 보고서 저자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단장, 4차 산업혁명 보고서 저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직업(32회), 직업 교육(33회), 개인(34회)에서 인력 정책의 바탕이 되는 내용을 이미 소개한 바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력 정책은 로봇이나 인공지능(AI)으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되는 단순 반복형 직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재교육시켜 새로운 직업을 갖게 하는 것과 새로 생길 직업이 요구하는 새로운 지식과 스킬을 갖춘 인력을 적기에 양성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중심에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력 정책은 지금까지와는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우선 동시에 여러개 직업을 갖거나 자기 고용과 같이 고용 형태가 크게 달라질 것이므로 전통적인 인력 제도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영역이 확대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세계적으로 AI 전문가의 절대 부족을 경험하고 있는 것처럼 새로 생길 직업과 그 직업이 요구하는 지식, 기술, 숙련도(스킬)를 예측하기 어려워 미리 대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 영역은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그룹 영역이므로 단기간에 그런 전문가그룹을 양성하기는 어렵다. 또 개인이 경제 활동을 하는 기간이 길어짐에 대응해 개인의 자기 계발 노력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평생교육 체계가 인력 정책에 반드시 담겨야 하기 때문이다.

공교육만으로 빠르게 진화하거나 갑자기 부각되는 기술이나 산업이 요구하는 인력을 적기에 양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특히 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스킬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공교육 성격상 직접적인 스킬을 교육하기보다 40년 내지 50년 동안의 경제 활동 기간 중 겪게 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즉 자기 계발 능력의 바탕이 되는 기초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개인이 스스로 스킬갭을 메꾸거나 새로운 스킬을 익힐 수 있게 해야 한다. 기초지식을 충실히 갖춘 인력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스킬을 짧은 기간 내에 습득할 수 있으므로 쓸 만한 인력이 부족하다는 기업 부문의 불만도 줄게 될 것이다.

산업 부문이 필요로 하는 새로운 스킬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문제에서 기업은 공교육 영역과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또 다른 교육 주체다. 기업은 끊임없이 새로운 스킬을 요구하는 신기술을 만들어내고 새로운 스킬을 가진 인력을 양성해 내며 훈련된 인력의 이직이나 창업을 통해 스킬을 확산시키는 조직이다. 즉 기업은 새로운 스킬을 가진 인력을 필요로 하는 대상인 동시에 새로운 스킬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기능을 하는 조직이다. 따라서 향후 다국적 기업이나 대기업, 중견기업이 인력 양성에서 담당하는 부분은 더욱 커질 것이며 사회적 기능의 일부가 될 것이다.

정부는 기업 부문을 교육 체계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인력 정책에 포함시켜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전문학과를 설치해 신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것과 함께 기업 현장에서 위탁교육이나 인턴 과정을 지원해 실행 가능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단기간에 양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갑자기 부각된 신생 기술 분야는 교수 요원조차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대학원에 전문학과를 설치해 교수 요원을 우선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가 AI를 중점적으로 교육시킬 대학을 지정하고 대학이 교수 요원을 적극 확보하고 있는 것과 같은 정책을 빅데이터나 블록체인, 자율주행자동차 등 다른 신기술 분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력 정책은 급격한 직업의 변화에 개인이나 기업이 유연하고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다음 주에는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변화 중 4차 산업혁명의 전개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단장, '4차 산업혁명 보고서' 저자

jkpark@nanotech2020.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