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K-에듀테크' 성공열쇠는 민간 참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교육부가 오는 2022년 개통을 목표로 통합 교육플랫폼 'K-에듀테크'(가칭)를 구축한다. 올해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 밑그림을 그린다. 최근 마련한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ISP 사업용으로 10억원이 포함됐다.

공공 정보기술(IT) 사업의 ISP 예산으로 10억원은 큰 규모다. ISP 결과를 봐야겠지만 대형 플랫폼이 구축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에 따르면 통합플랫폼은 단순히 여러 교육서비스를 한곳에 모으는 것을 넘어선다. 플랫폼은 각 서비스가 제공하는 디지털 학습 콘텐츠를 연계, 평생교육에 걸맞은 모습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들어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유치원·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와 대학에 이르기까지 전 교육기관에 온라인 원격수업이 '강제' 실시됐다. 짧은 준비 기간으로 혼선도 빚었지만 초유의 사태 속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공백을 메웠다. 나아가 미래 교육 모델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K-에듀테크는 이 같은 원격수업을 포함해 디지털 학습 전반에 걸쳐 지속 발전을 이끄는 중심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다. 에듀테크 산업 측면에서도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우려되는 것은 과거 정부 주도 사업에서 나타난 민간 부문 위축이라는 부작용이다. 정부가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면 초기 취지와 달리 기업의 입지를 좁힐 위험성이 있다. 민간이 공공 플랫폼에 종속될 수도 있다. 이제 막 활기를 띠고 있는 국내 에듀테크 산업 생태계의 발전을 가로막고, 나아가 교사·학생의 학습권에도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정부는 민간이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고 새로운 시장에 도전할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 민간 주자가 활발하게 뛰어다닐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면 그것으로도 충분한 도움이 된다.

앞으로 교육부가 실시할 ISP 과정에서 깊은 고민과 폭넓은 협의가 이뤄지기 바란다. 에듀테크업계도 이에 맞춰 경쟁력을 기르며 준비해야 한다. K-에듀테크 성공 여부는 민간 참여 활성화에 달렸다.